매일신문

힘겨운 '渭川물꼬'틔우기

"신한국 영남지부장 간담회"

위천국가공단문제의 첫 정치적 해결시도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 22일 신한국당 영남권 4개 시.도 지부장 공동기자간담회는 실망스러웠다는 지적이다.

물론 각 지역의 첨예한 대립여론을 의식해 알맹이 있는 합의내용을 쉽사리 도출하리라는 기대는처음부터 그리 크지 않았다.

하지만 이날 모임은 서로의 입장차이를 확인한 데서 더 나아가 15조원이 드는 낙동강유역 종합개발계획을 공동추진사항으로 발표, 이를 위천문제 의 선행조건으로 삼았다는 데서 갈 길이 바쁜대구의 발목을 잡는 것이었다는 평가다.

이 개발계획은 전체 추정예산 15조원, 대구~부산간 오.폐수 관로개설에만도 8조원이 드는 대규모사업으로 하루이틀에 끝날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물론 부산 金운환위원장은 재원확보 방안으로 낙동강 골재활용 등을 제시하기는 했다. 그러나 사업계획 자체가 초기논의단계인데다 엄청난 예산이 들 것으로 보여, 경제회생이 시급한 대구로서는 아주 현실적이지 못한 것이다.

金위원장은 또 영남권 전체의 발전을 강조하며 이러한 낙동강 근본대책을 주장했으나 결국 부산의 반대논리를 대구시민에게 강제하려는 의도로밖에는 보이지 않는다는 얘기다.경남 金동욱위원장 역시 낙동강 살리기를 전제하지 않고는 공단도 산업화도 별 소용이 없다고 되풀이 강조, 같은 입장임을 분명히 했다.

이들은 그동안 위천국가공단 조성과 관련, 대구에서 제시한 오염방지책에는 별 관심을 두지않는듯한 인상이었다.

따라서 부산.경남쪽의 속셈은 이 기회에 위천문제 를 업고 부산의 물문제를 일거에 해결해보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다.

양 위원장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면서 영남은 하나 라는 말을 수시로 되풀이해 이 문제를 내년 대선과 연계지어 신경을 쓰고있다는 눈치도 보였다.

대구 徐勳위원장도 이 모임이 있기 직전 이런 식으로 양 지역이 대립하다가는 내년 대선은 물론, 아무 것도 하지 못한다 며 그 추진배경의 일단을 밝힌 바 있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악화되고있는 양 지역 여론을 희석시켜보려는 측면도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이처럼 낙동강 전체를 살리자는 대명제에는 누구도 반대할 수 없으리라는 계산으로 나온 부산.경남쪽 수에 대구지역은 의표를 찔렸다는 당혹스런 표정이다.

낙동강유역 종합개발계획이 공동추진사항으로 발표문에 삽입된 것 자체부터 이를 증명했다.이같은 비판과 지적속에서도 그간 영남지역의 남북간 감정의 골을 깊게 파놓은 위천문제 에 대해 정치권이 처음으로 정면에 나서 논의의 물꼬를 텄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