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보1호 적합여부 여론조사 논란가중

"석굴암, 팔만대장경등 재지정 주장"최근 국보1호를 다시 정하자는 문화재 및 학계의 목소리가 활발하게 터져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현재 국보 1호인 남대문이 제1호로 적합한지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를 실시하자 지역문화재및 학계에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일제의 편의대로 결정된 남대문 대신 석굴암, 팔만대장경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상징적 문화재를 국보1호로 재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현재 국보 1호인 남대문은 조선총독부가 1933년 조선보물 고적명승 천연기념물보존령 에 의해 5백3건의 문화재를 지정하면서 조사순위에 따라 1호 라는 번호를 부여했으며 1962년 문화재보호법 에 의해 일괄 재지정하면서 국보 1호의 지위를 차지한 것.

관계전문가들이 문화재중에 등급결정이 잘못됐거나 왜색명칭을 띤 경우가 있는 등 문화재지정에많은 문제점을 제기해오고 문체부가 일제 지정문화재에 대한 재평가작업을 벌이면서 올해 초부터이같은 논쟁이 촉발됐다.

문화재관계자들은 대부분 문화재에 순위를 매길 수 없다는 견해를 보이면서도 국보 1호 의 재지정문제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를 보이고 있다.

한영우 서울대 규장각 관장, 정영호 한국교원대 박물관장 등은 국보1호는 마땅히 우리나라의 대표적 문화재를 재지정해야 한다 면서 유네스코지정 세계문화유산일 뿐만아니라 시기적으로 앞서고 예술적 가치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석굴암을 추천했다.

윤용이 원광대 교수는 훈민정음 이나 조선왕조실록 을 추천했으며 팔만대장경 경복궁 등을 국보 1호로 추천하는 인사도 있다.

그러나 반대의견도 만만치 않다. 국보에 경중이 있을 수 없으며 국보 1호에도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이다.

지건길 국립경주박물관장은 남대문이 국보1호로 인식돼 있는데 국보1호를 재지정하는 것은 혼선만 초래한다 며 재지정할 경우 각 지역의 대표적 문화재를 국보로 삼기위해 지역색채만 드러낼것 이라고 주장했다.

윤용진 전 경북대박물관장, 이희준 경북대교수(고고인류학)는 국보순서를 바꾼다고 민족정기가되살아나는 것은 아니다 며 재선정 기준이 분명치 않고 국보1호를 새로 지정하고서도 더 귀중한문화유산이 발견될 경우 혼란을 빚게된다 고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