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극복이 최대 관심사가 돼 있는 때라 국회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에도 독한소리가 섞이지 않을수 없었는가 보다. 어느의원이 어제 질의 과정에서 이렇게 공격했다. 현정부는 경제죽이기로 일관해 그 결과 근면과 저축대신 무분별한 소비와 해외여행 사치쇼핑이 조장됐다 ▲물론 여당의석에서 전투하러 나온건지 질문하러 나온건지 알수 없다거나, 자신이나 잘하라는등 비아냥이 터져나왔다지만 현재 우리경제의 어려움은 여야 어느쪽도 부인할 수 없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밝힌 올해 경상수지(經常收支) 적자는 정부 전망치를 훨씬넘어1백88억달러까지 확대되고, 이런 하강국면은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최근 몇년간 그나마 든든한 느낌을 주어왔던 경제마저 흔들리고 있으니 영구히 믿을만한 것은 아무데도 없다는 말이 틀리지 않는 듯. 정부의 업적으로 꼽히고 있는 금융실명제도 그 공과(功過)를 두고 왈가왈부되고 있다. 실명제(實名制)가 실명(失名)위기에 있다고 하고 공연한 차명(借名)이 지하에서성행한다는 보도도 있다. ▲어떤 제도라도 장단(長短)은 있게 마련이다. 비리의근원을 척결한다는데 누구도 반대할순 없지만 실명제가 일상적 자금의 흐름을그릇되게 하고 서민경제를 경색시키는 문제가 있다면 그것은 보완돼야 한다.던져두지 않고 가꾸는 일도 씨뿌리기만큼이나 중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