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5일 중앙방송을 통해 다음달부터 '이산가족찾기' 사업에 착수할 것이라고 보도함에 따라,새정부 출범과 함께 남북이산가족 상봉의 길이 열릴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은 이날 "가족친척들이 고향을 떠나 해내·외에 서로 흩어져 생사여부를 모르는 사람이 적지않으며, 세월이 흐를수록 그들은 혈육간의 상봉을 간절히 바라고있다"며 "사회안전부 주소안내소는 다음달부터 흩어져 살고 있는 가족친척들을 찾아주는 주소안내 사업에 착수하게 된다"고 보도했다.
특히 이 방송보도는 노동당과 정부의 명의로 발표된데다 김정일의 56회 생일 하루 전날에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북한 중앙방송 보도와 관련, 16일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 "하지만북한의 진의는 좀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정부는 앞으로도 인도적 차원에서 남북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노력을 강화할방침"이라며 "새정부 출범후 고령 이산가족의 방북허용 절차를 신고제로 완화하는 등 '남북교류협력법' 개정이 검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새 정부 출범이후 정경분리 원칙하에서 남북경협 및 남북 이산가족찾기 사업이 적극 추진될것임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김대중대통령당선자도 14일 이북5도민 하례식에서 "정경분리 원칙하에서 북한과의 경제교류 및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할 것"이라며 "새정부는 북한이 정치적 의혹을 품지않도록 하는 선에서 남북이산가족간의 상봉은 물론 교류, 서신왕래를 가능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최근 대통령직 인수위가 발표한 '1백대 과제'에도 제3국을 통한 이산가족 교류지원강화, 남북당국간 또는 적십자간 회담을 통해 '이산가족면회소' '우편물교환소' 설치 및 고향방문단 교환 추진 등이 포함돼있다.
그러나 새 정부 출범이후 본격적인 남북 이산가족찾기 사업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예상은 아직 '시기상조'인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공식적으로 우리측에 이산가족찾기를 제의해온 것도 아니고, 북한의 입장이 어떤 것인지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부의 다른 관계자는 "북한의 방송보도만 갖고 남북간 이산가족찾기 사업이 재개될 것이라는 추측은 아직 이르다"면서 "좀더 북한의 입장과 향후 추이를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특히 북한이 방송에서 이산가족 대상에 '해내·외에 서로 흩어져 생사여부를 모르는 사람'이라고 지칭했으나 여기에 월남 이산가족도 포함됐는지 여부는 확실치 않다"면서 "북한이 대북식량지원을 매개로 한 전술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