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2)-離散가족 소원 풀리려나

차기대통령취임식과 새정부출범을 앞두고 북한에서 비록 대남(對南)제의 형식은 아니지만 '이산가족 주소안내소'를 설치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남북관계 해빙의 단초(端初)가 될 수 있을지 일단 기대를 갖도록 한다.

더욱이 김대중 차기대통령이 며칠전 이북5도민 신년하례식에 참석, '남북 이산가족 상봉을 적극추진하겠다'는 언급이 있은 직후에 나온 북한의 발표이기 때문에 신정부의 대북정책과 어떻게 조화를 이뤄 열매를 맺을 수 있을지 큰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우리측은 새정부에 대한 유화신호로 받아들이고 있고, 사실상 냉랭한 남북관계에 돌파구를 찾은듯, 약간 흥분하고 있는 인상을 보이기까지 한다.

그러나 북의 발표에 대해 아직도 판단이 이르다고 보는 시각도 많아 대북정책은 유연하되 신중해야함을 다시 느끼게한다. 북의 중앙방송 내용대로라면 남쪽에 있는 이산가족은 해당되지 않는듯하다. '이산가족 주소안내소'의 기능이 '국내주민과 해외동포'라고 명시하고 있어 우리가 소원하고있는 남북한 이산가족범주가 아닌것으로 일단 보인다.

또 그들로서는 최대명절이라고 하는 김정일생일을 전후한 발표이고 종전처럼 남쪽의 새정부출범을 맞은 기회에 대남선전용·국외과시용일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본다. 차기정부에서 일할 통일외교분야의 인사가 '좋은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발언을 하고 있으나 상당수 북한관계전문가등은 조심스런 반응을 보이는 이유도 북의 대남전략·전술을 익히 알기 때문일 것이다.96년 가을 강릉에 잠수함무장공비를 침투시켜 많은 희생자를 내게한 그들이 경수로 건설에 적극적인 자세를 갖는등 이해하기 힘든 양면성을 보였던 북한이기에 이번 주소안내소 설치문제도 후속조치등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경계론 또는 신중론이 설득력있게 들린다.

또 가장 두려운 것은 남쪽에 살고있는 65세이상 50만 이산가족들에게 또한번 마음의 상처를 안기고 말지 모른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북한이 이산가족의 생사(주소) 확인·상봉등에 소극적이었던이유가 바로 '개방'에 따른 체제위협이었기 때문에 간절한 염원인 이산가족의 생사확인과 자유로운 만남에까지 이어지려면 더 큰 인내심이 필요할 것 같다.

북한을 자주 왕래하는 미국국적 한국인들은 북한을 방문할때마다 변화하고 있음을 느낀다는 말들을 전해주고 있기도하다. 북의 변화를 예의주시하면서 이산가족문제해결에 적극적이되 서두르지않고 결실이 있도록 다각적인 대응에 만전을 기해주기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