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외채협상 타결과 지난 9일 정부의 기업자금지원 활성화 대책 발표 후에도 금융권의 신규 대출 기피, 수출입금융 제한 등이 여전해 중소기업들의 자금난 악화지속은 물론 수출증대 노력이 발목을 잡히고 있다.
18일 한국섬유산업연합회가 조사한 'IMF체제 이후 최근의 금융현황'에 따르면 외채협상 타결, 정부의 자금지원 대책이 나온 이후에도 금융권의 고금리 상태가 지속돼 대출이자 및 어음할인 등에따른 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
특히 금융권은 신규대출 및 대출만기 연장을 기피할 뿐 아니라 연장을 해주는 경우에도 단기연장이나 '꺾기', 추가담보 설정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은행들은 또 IMF체제 이전 '리보금리+1%%'였던 신용장 매입 수수료(환가료)를 현재 '리보금리+5~5.5%%'수준으로 인상, 외화조달 금리 상승부담을 기업에 떠넘기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은행들의 수출환어음 매입 기피 현상은 일람불 신용장의 경우 상당히 개선됐으나 대부분 은행들은 여전히 외상거래 형태인 인수도(DA), 지급도(DP) 거래를 기피하고 있다.또 은행들은 지급이보증된 유전스 신용장도 제한적으로 매입하거나 거절하고 있으며 유전스 매입때는 네고금액 중10~20%%를 원화로 환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
지역 섬유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들어 정부가 수출기업과 중소기업 자금 지원을 위해 두차례나대책을 발표했으나 일선 금융기관에서는 거의 시행이 안되고 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金敎榮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