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코소보 사태 조기해결에 발벗고 나선 가운데 미국과 캐나다도 10일 세르비아가 주축이 된 신유고연방에 대한 경제제재를 발동, 군사개입 가능성을 염두에 둔 국제사회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빌 클린턴 미대통령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구성된 신유고연방 당국이 코소보주 알바니아계 주민들의 독립노선을 유혈 탄압하고 있는데 대한 제재조치로 미국내 자산 동결 및 신규투자 전면금지 조치를 발동한다고 이날 발표했다.
캐나다도 "슬로보단 밀로세비치 대통령이 협상보다는 대적을 택하고 있다"면서 미국과 같은내용의 유고 제재조치를 단행했다.
한편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는 대유고 군사제재 발동을 향한 사전 압박전략의 일환으로 코소보 주변지역에 대한 군사력을 크게 증강키로 했다.
나토는 춘계 국방장관회담을 앞두고 코소보를 둘러싼 주변 발칸국들과 함께 '평화를 위한동반관계'의 틀안에서 전개되는 군사훈련을 확대하는 한편 나토 군함들을 알바니아에 보내는 방안도 검토중이라고 내부 소식통들이 말했다.
나토 회원국들은 또 러시아 등이 동참한 가운데 코소보사태에 나토가 무력개입할 경우 초래될 군사적 결과를 예의 검토하도록 군당국에 지시하는 한편 공습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이와 함께 코소보 사태가 더욱 악화되는 경우 알바니아나 마케도니아에 나토군을 주둔시키는 문제도 검토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러시아 등 유고사태 중재기구인 '6개국 접촉그룹'관리들은 이날 코소보 유혈사태를 종식시키기 위한 '포괄적 제의'에 합의했다.회의 주재국인 프랑스는 '포괄적 제의'의 구체적 내용은 밝히지 않은채 이같이 발표하고 그간 유고제재에 반대해온 러시아도 이같은 해결노력에 적극 동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소식통들에 따르면 '포괄적 제의'는 적대행위 즉각 중지, 난민 귀환 및 알바니아계 주민이다수인 코소보 지위에 관한 회담 재개 등을 촉구하면서 이러한 조치들이 이행되도록 하기위한 무력 사용의 길도 열어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