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귀는 외이.중이.내이로 구분돼 있는데 중이염은 한쪽 또는 양쪽 중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생후 3세까지의 유소아 3분의 1에서 3회이상 급성 중이염이 나타나며 전체 소아의 3분의 2에서 3세까지 한번 이상 중이염에 걸리게 된다.
특히 여름철에는 물놀이 후 귀에 들어간 물을 빼내기 위해 귀를 후비다가 중이염에 걸리는사람들이 많다. 또 감기.축농증.인두염.알레르기.면역저하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두드러진증상은 이통과 귀 압박감.충만감이며 아이들은 귀를 당기거나 문지르기도 하며 열이 동반된다.
소아에서 흔한 삼출성 중이염은 이관(구씨관) 기능불량이 원인으로 고막속이 외부와 공기가통하지 않아 음압으로 고막이 안쪽으로 쭈그러져 주위 조직에서 삼출액이 스며나오는 현상.삼출성 중이염은 소아난청의 원인이 되므로 아이가 TV볼륨을 높이거나 부르는 소리를 잘못 듣는다면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중이염 증상은 약물 복용으로 2~3일내에 좋아질 수 있으나 염증을 완전히 없애려면 10~14일간 약을 먹어야 한다. 이렇게 해도 안될 경우는 고막을 절개한 후 액을 넣는 시술법을 쓸수 있다. 편도와 아데노이드 감염에 의한 재발은 감염 부위 제거 수술을 받는 것이 좋다. 껌씹기.하품.운동을 자주해 이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도 치료에 도움이 된다.급성 중이염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거나 외상 등으로 생긴 고막의 흠을 통해 세균이 침범하면 만성 중이염이 된다. 만성 중이염도 항생제를 써 귀 속의 물이 빨리 마르도록 하고 염증이 가라앉으면 고막 이식수술을 한다.
중이염은 잘만 치료하면 아무 휴유증없이 정상을 회복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청력 상실 및 안면신경마비 등의 합병증을 초래함은 물론 사망에까지 이르게 한다.(도움말:경북대병원 이비인후과 이상흔 교수) 〈黃載盛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