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 연민수교수 주장 고대일본의 유력한 도래계 씨족인 하타씨(秦氏)가 경북 울진에서 건너갔다는 주장이 나왔다.
연민수 동국대교수(사학과)는 오는 24일 한국고대사학회가 주관하고 울진군이 주최하는울진봉평비 발견 10주년 기념 '한국고대사회와 울진지방' 학술대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주제발표를 할 예정이다.
그동안 하타씨는 백제, 중국계라는 주장과, 신라에서 왔지만 원출자는 중국왕조의 진(秦)이라는 주장이 있었다. 하타씨는 아야씨(漢氏)와 함께 일본고대의 거대한 웅족으로 일본조정을 비롯, 각지에 그 흔적을 남겨 놓고 있다.
연교수의 하타씨 울진 도래설은 진(秦)의 훈독이 '하타'(波陀)였다는데 기초한다. 일본 에도(江戶)시대때부터 하타씨는 한국어 '바다'(pada)로 부터 전화한 것이란 주장이 나올 정도로 한반도인으로 굳어졌다. 문제는 어느 지역이냐는 것. 그 실마리가 지난 88년 발견된 울진봉평신라비의 제7행 31,32번째 글자인 파단(波旦).
파단은 울진의 옛 지명이다. 울진의 영현(領縣)인 해곡현이 원래 고구려 파단현이었다는 것이 '삼국사기'에 기록돼 있다.
연교수는 이 파단과 하타를 동음어로 간주하고 하타씨의 '고향'을 울진으로 보고 있다. "울진 지배세력의 일파로 여겨지는 진씨일족이 5세기경 고구려와 신라의 치열한 영토확장 전쟁 와중에서 전란을 피해 일본으로 도해(渡海), 일본 하타씨가 된 것"이라고 결론을 짓고있다.
이같은 주장은 우리나라보다 오히려 일본에서 연구가 더 활발한 편. 일본학계에서는 최근들어 하타는 동해안의 지명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라면서 그 지역을 울진으로 추정하고 있는 추세다.
이번 학술대회를 준비한 노중국 계명대교수(사학과)는 "일본 하타씨의 고향이 울진이라는연구결과들이 나오는 것을 계기로 고대한일관계사에 있어서 울진의 역사적 의미를 새롭게조명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