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새로운 시민단체의 창립과 활동이 두드러지면서 지난 87년 이후 민주화바람을 타고 불붙었던 민간운동이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이에따라 기존 시민단체 및 재야단체들도 조직 재편 및활동영역 확대를 통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지난 4월 대구참여연대, 5월 안전운동연합, 10월 한국청년연맹 대구지부준비위원회가 발족한 것을비롯, 오는 14일 '희망의 시민포럼'이 창립대회를 가질 예정이며 '대구.경북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가칭)도 곧 출범할 것으로 알려졌다.
50여개에 이르는 기존 시민단체 중 상당수가 최근 침체에 빠진 반면 대동은행 주주대표소송, 실직자 지원 조례 청원, 의정감시 등을 벌이고 있는 참여연대 등 신규 단체들의 활동은 두드러지고있다.
이에따라 지역의 대표적인 청년운동단체인 '새로운 청년회'가 최근 한국청년연맹으로 흡수되고,민족자주평화통일 대구경북회의, 민주주의민족통일 대구경북연합 등이 '대구.경북지역 민족민주열사 명예회복과 진상규명을 위한 대책위원회'를 결성하는 등 재야단체들을 중심으로 조직재편 바람이 불고 있다.
또 대구경실련이 예산감시센터와 부정부패감시단을 새롭게 조직하고 대구YMCA는 청소년유해정보감시단을 꾸리는 등 각 시민단체들도 새로운 활동영역을 찾고 있다.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이같은 현상은 '민주화'를 표방했던 기존 민간운동이 한계에 이르렀다는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대구참여연대 강금수 부장은 "현재 시민단체는단지 개혁적인 성격을 가졌다는 것만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며 "시대적 변화에 맞는 전문적인활동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