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용경색 해소 시각차 크다

신용경색 해소를 위한 선결과제를 놓고 금융기관과 기업간의 인식이 크게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금융기관들은 기업의 투명성 제고가 먼저라고 보고 있는 반면 기업들은 금융기관의 담보위주 대출관행이 개선돼야 한다고 생각하는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 대구지점이 최근 지역 중소기업과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용경색 원인과 타개등에 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금융기관들은 신용경색 해소를 위해 필요한 조치로 △기업구조조정(28.8%) △부실채권 발생에 따른 면책기준 명확화(19.2%) △담보위주 대출관행 개선(17.6%)을 꼽았다.

반면 기업들은 △담보위주 대출관행 개선(39.5%) △금융기관의 조속한 구조조정(20.5%) △대출금리 인하(17.9%) 등이 선결과제라고 밝혀 신용경색 해소를 위해 금융기관이 앞장서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신용경색의 원인에 대해서도 금융기관들은 담보부족(23.8%), 취약한 재무구조(23.0%), 기업구조조정(19.8%) 등 주로 기업측 문제점을 이유로 꼽았다. 반면 기업들은 담보부족과 취약한 재무구조가 원인이라는데는 일치된 견해를 보이면서도 금융기관직원의 보신주의, 금융기관 구조조정, 매출액기준 대출심사제도를 꼽는 등 시각차를 보였다.

내년 1/4분기 지역 경제 전망에서도 금융기관들은 63.2%가 다소 개선될 것으로 보고있지만, 기업들은 다소 개선될 것이라는 예상이 18.2%에 불과해 대조를 이뤘다. 자금사정에서도 금융기관들은다소(89.5%)내지 크게(10.5%)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 반면 기업들은 33.4%가 현재보다 악화될 것으로, 24.2%가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金海鎔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