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연극의 현장인 학교 청소년 연극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내년 고입 1년생부터 획일적인 자율·보충학습이 폐지됨에 따라 각 학교마다 방과후 교육활동을 활성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청소년 연극의 교육적 효과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대구·경북지역 고교 연극반은 30여개. 약 9백여명의 고교생들이 연극반에 소속돼 청소년연극제, 연극 캠프에 참가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교육연극 관계자들은 무엇보다 학교 청소년 연극이 최근 문제화되고 있는 학생들간의 이른바 이지메(집단 괴롭힘) 현상 등 청소년문제를 줄일수 있는 교육적 효과가 크다고 말한다. 협동심과 적극적인 의사 표현, 외향적인 성격을 기를수 있으며 예술적으로 심성을 순화하는 등 장점이 많다는 것이다. 이미 외국에서는 교육연극이 문제청소년 개도의 일환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이같은 교육연극을 학교에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연극반 지도교사들에 대한 전문교육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학생들간에 불필요한 경쟁의식을 만들고 심사잡음 등 부작용이 적지않은 청소년연극제도 경연방식에서 축제형식으로 개선돼 교육연극의 본래 취지를 살려야 한다는여론이다.
대구연극지도교사협의회의 이구학 회장(정화여고 교사)은 "교육적인 측면이 강한 청소년 연극을기성 연극의 잣대로 판단해선 안된다"며 "전인교육의 한 장으로 청소년 연극을 활성화시키려는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金英修기자〉































댓글 많은 뉴스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