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은 장애인의 날."장애인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은 직업과 가정을 갖게 하는 것입니다. 직업은 행복한 가정을 꾸릴 수 있는 전제조건이 되기 때문에 장애인 취업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인 셈이죠"
경북 칠곡군 석적면에 위치한 우진기업(대표 김광종·38)은 장애인 고용을 꺼리는 우리나라 기업의 일반적 행태로 볼 때 색다르다. 전체 37명의 직원 가운데 15명이 장애인이고, 이중 8명은 중증 장애인으로 분류된다.
큐빅(인조다이아몬드) 원석을 1차 가공하고, VTR 헤드부품을 비롯한 각종 전자부품을 하청 생산하고 있는 우진기업이 이토록 많은 장애인을 채용할 수 있었던 것은 김사장의 남다른 배려 덕택이다.
97년 공장설립 때부터 모든 건물의 문턱을 없애고 경사로를 설치하는 한편, 기숙사 화장실 등 각종 시설물을 장애인이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설계했다. 첫해 3명의 장애인을 채용한 후 IMF 사태로 온나라가 정리해고의 회오리에 휩싸여 있던 지난해에도 이영근(27·뇌성마비 3급)씨를 비롯한 장애인 8명을 추가로 고용했다.
올해도 벌써 김종형(23·지체6급) 이순옥(33·여·지체5급) 우남희(32·여·지체2급) 김성관(27·지체3급)씨 등 4명이 일자리를 얻었다.
"장애인 고용에는 몇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같은 장애자를 복수로 채용해 외로움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 어떤 식의 '특혜'나 '차별'도 없어야 합니다"
입사 1년만인 지난해 11월 결혼을 한 정철우(37·지체4급) 작업반장은 "작업과 생활에 불편함이 없고 장애인들이 많아 이질감이 들지 않는다"며 "함께 생활하다보니 일반종업원들의 장애인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도 없어졌다"고 말했다.
"장애인은 집중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업무를 분석해 보면 장애인이 잘할 수 있는 일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문제는 경영자들이 장애인에게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죠"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소외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져온 김사장은 올해 2월 계명대 경영대학원에서 '장애인 근로자들의 노동소외 현상에 관한 연구'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