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문학을 세계적인 문학의 반열에 올린 아르헨티나 시인이자 작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1899~1986)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시선집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열기'가 민음사에서 번역출간됐다.
보르헤스의 소설은 전집으로 국내 번역출간됐으나 시집이 번역, 소개되기는 이번이 처음. 단편소설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기 때문에 그의 시가 상대적으로 우리에게 덜 알려진 탓이다. 보르헤스 문학의 출발은 바로 시다. 그는 20년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전위주의적 시인이었다. 남긴 시집만도 모두 16권. 하지만 유전적 요인과 과도한 독서로 지난 55년 시력을 상실하면서 '픽션들' '알렙' 등 소설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다. 결국 그의 문학여정은 시에서 에세이를 거쳐 단편소설에 정착한다.
이번 시선집은 1960년에 발표한 시집 '창조주'에 수록된 시들과 대표시들을 묶어 첫 시집 제목인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열기'를 달았다. 보르헤스의 시는 그의 내면세계를 들여다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단편소설과 변별된다. 암흑의 세계에 빠진 삶의 아이러니와 문학적 지향점이 진솔하게 녹아 있다.
'신은 빛을 여읜 눈을/ 이 장서 도시의 주인으로 만들었다/ 여명마저 열정으로 굴복시키는 몰상식한 구절구절을/ 내 눈은 꿈속의 도서관에서 읽을 수 있을뿐//···/ 높고도 깊은 눈먼 도서관 구석구석을/ 나도 정처 없이 헤매이네'('축복의 시') 그의 시에는 보르헤스의 세계 인식과 형이상학적 주제가 극명하게 드러난다. 그는 세계를 불가해하며, 현실은 꿈과 같은 것으로 인식했다. '모호' '현란' '경계'와 같은 단어들이 자주 반복돼 세계의 불확실성을 부각시킨다. 또 그의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호랑이, 도서관, 거울, 칼 등의 모티브와 연결된 '오후' '심연' 등의 단어는 우주와 영혼, 혼돈과 자아 등 형이상학적 사유를 드러낸다.
가장 위대한 남미출신 작가로 평가되는 보르헤스. 불교경전 등 동서양 고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전통 서사방식을 해체하는 새로운 문학양식으로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등 20세기 신사조의 기원'으로 불릴 정도로 큰 영향을 끼쳤다. 생전 노벨문학상을 제외한 많은 문학상을 휩쓸었으나 아르헨티나 군부독재에 대해 침묵한 사실때문에 비평가들로부터 비판받고 있기도 하다. 지난 8월25일 그의 탄생일에는 아르헨티나를 비롯 세계 각국에서 기념주화 발행, 유품전시회 등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렸다.
徐琮澈기자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
현직 검사장, 검찰총장 대행에 "정권에 부역, 검찰에 오욕의 역사 만들었다…사퇴하라"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