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시대를 맞아 지방자치단체들이 충분한 사전검토없이 각종 시책사업을 추진, 설계 등 용역발주만 하고 이를 추진하지 않는 사례가 많아 예산낭비가 많다는 지적이다.
성주군은 지난 96년 지방재정 확충사업의 하나로 민.관 공동으로 사업비 100억원을 들여 '먹는 샘물 개발사업'을 추진키로 하고 사업용역비 4천500만원 등 6천500만원의 예산을 집행했다.
그러나 군은 몇차례 수질 및 지질조사만 벌였을뿐 후보지 선정 및 민간자본을 유치하지 못한채 흐지부지 됐다.
또 같은해 지역 특산품인 참외.수박 가공품 개발을 위해 경북대와 3천만원에 개발용역을 체결, 쥬스.잼 등 성과품을 납품받아 시식회까지 했으나 사업성이 낮다는 이유로 상품화 시키지 않고 용도폐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군은 94년 가천면 일대 주민들의 식수원 개발을 위해 가천상수도 설치를 위한 설계용역비 9천만원을 들였으나 성주댐 상류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사업을 시행하지 못했고, 성주읍 대황리 쓰레기 매립장 추진사업으로 5천400만원의 용역비를 투입했으나 주민반대와 구미~옥포간 고속도로에 부지 일부가 포함돼 타 지역으로 이전키로 하는 바람에 주민의 혈세만 낭비했다는 지적이다.
朴鏞祐기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