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가 감기만 걸리면 쌕쌕거리고 기침이 잘 떨어지지 않는다. 좀 낫는듯 하다가 또 감기가 들고 다시 쌕쌕거리며 만성 기침을 한다.
요즘 같은 봄철에는 영아의 발작성 기침으로 애태우는 부모가 많다. 병원에 가면 "기관지가 좀 안좋다"라든가, "천식기가 좀 있다"고 하는 수도 있다. 또 대증요법으로만 치료하고 두고 보는 경우도 많았다.
하지만 2살 이하의 영유아가 모세 기관지염으로 세번 이상 진단을 받거나, 별다른 원인 없이 3회 이상 쌕쌕 소리를 내 영아천식으로 진단 받으면,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가족 중에 천식이나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같은 알레르기성 질환을 가진 사람이 있는 경우, 어릴 때 태열(아토피성 피부염)이 있었던 경우엔 아이에게 영아천식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가족력이 없는 경우라도 심한 놀이 후에, 주로 늦은 저녁이나 이른 새벽에, 기침을 하면 천식을 의심해야 한다.
영유아 천식의 가장 많은 원인은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이다. 감기 후에 천식이 발병하거나 악화되는 경우가 많은 것. 따라서 아이들이 감기에 걸리면 천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아주는 예방약을 먹이는 것이 필요하다.
큰 아이들의 천식과 달리 꽃가루나 집먼지 진드기들은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다. 영아천식을 유발하는 요인은 찬공기에 노출되는 것이기 때문. 애기가 있는 방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은 더 위험천만한 일이다.
영아천식은 천식 발작이 올 때만 치료를 해서는 별다른 효과가 없다. 발작 치료가 되고 난 뒤에는 반드시 적절한 항알레르기제를 장기간 투여, 재발을 막아야 한다김명성 교수(계명의대 소아과)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