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현대 자구안 진통 계속

현대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요구를 현대그룹이 거부하고 현대그룹이 내놓은 자구책에 대해 정부와 채권단이 수용불가를 밝히고 나서는 등 현대사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다만 현대그룹의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은 "현대그룹의 자구책에 대해 현대가 앞으로의 일정 및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조만간 사항별로 더 구체적으로 협의해오면 신중히 검토할 예정"이라며 계속 협상의사를 밝혀 문제해결의 가능성은 남겨놓았다.

이에 따라 앞으로의 주식, 외환 등 금융시장이 현대가 제시한 자구책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느냐가 문제해결의 열쇠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28일 "현대의 자구계획 발표는 일방적인 것으로 시장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했다.

정부와 채권단은 그러나 현대와 자구계획에 대한 협의를 계속, 시장의 믿음을 얻을 수 있는 방안이 나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현대는 이날 오후 '현대의 입장'이란 자료를 통해 "현대건설이 갖고 있는 상장.비상장주식(3천385억원)과 부동산(1천41억원) 매각, 아파트 분양 등을 통해 5천426억원을 확보하고 6천400억원 규모의 서산농장을 매각하거나 수익사업을 위한 담보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주주는 소유지분에 대한 책임과 권한만을 행사하고 경영권에는 관여하지 않겠다"고 밝혀 정부와 채권단이 요구한 정주영 명예회장의 퇴진에 대해서는 거부의사를 분명히 했다. 또 이익치 현대증권 회장과 이창식 현대투신 사장 등 금융부문 최고경영진을 교체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최종 결정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정부는 기존의 구조조정 계획에 비해 진전된 것이 하나도 없고 시장의 신뢰를 얻기에는 미흡하다며 수용불가 의사를 밝혔다.

鄭敬勳기자 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