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경마장과 서울 풍납토성(송파구 풍납동) 건설예정지에 대한 보존 결정은 한 번 망가지면 영원히 되돌릴 수 없는 문화유적을 지켰다는 선례를 남긴 동시에 이를 위해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단초를 던져주고 있다.
각각 천년왕국 신라 및 백제와 깊은 관련이 있는 두 지역은 공교롭게도 비슷한 시기에 개발과 보존이 첨예하게 맞선 곳이었다. 지난해의 경우 문화재 분야는 경주경마장과 풍납토성의 해였다고 할 만큼 두 지역은 내내 시끄러웠다.
이 두 곳이 갖는 또 다른 의미는 향후 한국 문화재 보존정책 전체의 흐름을 좌우할 만큼 중대한 분기점이라는 데 있었다.
이런 점에서 8일 문화재위원회로서는 이 두 곳을 사적으로 지정, 보존하기로 결정한 것은 문화재 및 환경보존이라는 정책방향의 큰 줄기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이들 지역에 대한 개발 허용은 그 효과가 비단 경주 경마장과 풍납토성에 그치는 게 아니라 국내 다른 지역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기 때문이다.
문화재위원들이 이런 파급 효과를 모를 리 없었다.
보존은 개발 포기의 대가, 곧 보상과 주민들의 극심한 반발이 수반된다.
지난달 16일 열린 회의에서 문화재위원회가 경주 경마장과 풍납토성 건설예정지에 대한 보존 여부 결정을 보류했던 까닭도 보상때문이었다.
이번에 사적 지정이 예고된 풍납토성 안쪽 재건축아파트 예정지 두 곳만 보아도 개발 포기에 따른 보상비만 1천500억원 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재원을 확보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문화재청 1년 예산이 2천억원에 불과하다는 점을 생각하면 재원 조달이 얼마나 어려운지 실감할 수 있다.
또 10년간 엎치락 뒤치락한 경주경마장건설 논란은 정치논리에 따라 '왔다갔다'하는 문화재 정책이 엄청난 부작용을 낳는다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준 사례였다.
아무튼 전문가들은 이번 보존결정을 경제개발보다 우리 문화재 보호에 더 큰 무게를 둔 결론으로 풀이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