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늘어나는 저소득 여성가장바닥 헤매는 자활 지원책

심각한 가정해체 풍조속에 저소득 여성가장이 급격히 증가,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하고 있지만 이들의 자활을 위한 정책적 지원책은 바닥을 헤매고 있다.

흔히 모자(母子)세대로 불리는 저소득 여성가장들은 '지자체와 노동관서에서 마련한 직업훈련은 수강기간이 짧아 숙련이 어렵고 일자리도 바늘구멍이며, 정부의 지원 자금도 대출자격이 까다롭고 금액과 금리의 실효성이 낮다'는 반응들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혼자 가정을 꾸려가는 저소득 여성가장 세대는 1999년 2,891가구, 2000년 3천142가구, 올해 3천 502가구로, IMF사태를 겪으면서 2년전 보다 2배 가까이 늘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저소득 여성가장당 1천200만원 한도의 '복지자금' 대출제도를 마련했지만, 자금 신청시 연대보증인 요구에다 금리(7.25%, 5년상환)도 영세민 전세자금(1천만원, 금리 3% 2년상환) 등 다른 지원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실질적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보건복지부가 전국적으로 '복지자금' 40억원을 대출해주겠다며 신청을 받았지만 대구시의 실적은 단 1건이었다.

대구 여성가장연대의 박진형(45·여)회장은 "하루하루의 생계도 힘든 가정에서 자금대출을 위해 연대보증인을 구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대출자금도 1천200만원을 갖고는 가게조차 얻기가 힘들 정도로 적다"고 말했다.

대구시가 노동청과 함께 시 여성회관 등 모두 6개 기관에 개설해놓은 미용, 조리사, 봉재 등 44개 직업훈련 프로그램도 취업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 여성가장들의 지적이다.

이들에 따르면 대부분의 직업훈련 프로그램이 10~20명의 소규모 단위로 3~6개월 가량으로 기간이 짧아 숙련이 힘든 데다 여성가장들은 대체로 연령때문에 자격증 취득에도 일자리 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자녀 2명을 둔 하모(51·여·북구 복현동)씨는 "훈련기관에 간병인 프로그램을 신청했지만 신청마감전에 인원이 다 채워져 20만원의 돈을 내고 사설학원에 등록했다"며 "조리사, 미용사 같은 자격증을 따더라도 대부분 업소에서 젊은 사람들을 원하고 있어 취업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불경기로 인한 가정해체로 여성가장이 늘고 있지만 예산부족으로 이들에게 충분한 지원을 해주기가 어렵다"며 "직업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폭넓은 개발과 함께 올해 이들 가정에 6억7천만원가량의 예산을 책정해 양육비, 학비 등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