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주업체들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하이트주조 등 지방 소주사들은 업계 전체 평균매출 감소율보다 배가 넘는 판매 감소율을 기록했으며 일부 업체는 90%를 넘는 순이익 감소를 나타내는 등 전반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
전북의 하이트주조(구 보배소주)는 지난해 전년대비 53.6% 감소한 1만5천363㎘의 소주를 판매했다. 전북 지역은 이미 진로가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하이트주조와 보해양조는 각각 30%와 15% 가량을 차지하고 있지만 진로에 계속 밀리고 있는 상태다.
전남을 거점으로 하는 보해양조도 지난해 '참眞이슬露'를 대표 브랜드로 이 지역을 공략한 진로에 시장을 조금씩 빼앗기고 있다.
진로는 전남 지역에 처음 진출할 당시 5% 안팎의 낮은 점유율을 보였지만 최근에는 10% 가까이 점유율을 높였다.
보해양조는 지난해 전년대비 29.4% 감소한 5만9천303㎘의 소주를 판매했으며 순이익도 99년보다 90.56% 줄어든 7억8천612만원에 그쳤다.
대구 및 경북 지역 업체인 금복주도 작년 소주 판매량이 전년대비 23.5% 줄어드는 등 시장이 위축되자 두산, 진로에 이어 이달부터 알코올 도수 22도의 신제품을서둘러 출시하는 등 수성(守城)에 나섰다.
한편 하이트소주(충북. 구 백학주조)와 ㈜무학(경남 마산), 대선(부산)등도 각각 지난해 판매량이 전년대비 16~30.8%까지 줄었다.
지난해 진로와 금복주를 제외한 나머지 8개업체 가운데 두자릿수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한 업체는 한 곳도 없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구시장 후보 지지도, 이진숙 21.2% VS 김부겸 15.6%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