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날 문득 깨달았던 것이다. 생각 없이아무 생각 없이 그저 흐르는 물은
꽃을 피울 수 없다는 것을,
푸우욱 썩어 늪이 되어 깊이 깨달아야 겨우
작은 꽃 한 송이 피울 수 있으리라고
퍼뜩 생각났던 것이다
일억사천만 년 전 낙동강 한 줄기가 무릎을
탁, 쳤을 것이다, 분명히
달면 삼키고 쓰면 버릴 것이 아니라 그 모든 것
제 속에 썩혀
어느 세월엔가 연꽃 한 송이 꽃피울
꿈을 꾸었을 것이다
제 조상의, 조상의 뿌리를 간직하려고
원시의 빗방울은 물이되고
그 물 다시 빗방울 되어 떨어져
물결 따라 흘러가기를 거부한
-정숙 '우포늪에서'
인생은 유장한 물의 흐름과 같다. 동양고전에서는 명경처럼 맑게 흐르는 추수(秋水)를 인간 정신이 도달한 최고의 경지로 여기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러나 그 흐르는 물도 생각이 없이는 한 송이 꽃도 피울 수 없다는 사실을 이 시는 보여 준다. 사유가 있는 삶의 중요성을 깨우치는 구절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되레 흐르는 물이 아니라, 고여서 푸우욱 썩어 늪이 되어야 작은 꽃 한 송이 피울 수 있다는 깨달음 앞에서는 절로 고개가 끄덕여 진다. 달든 쓰든 삼킬 수 있는 큰 인생에 대한 경외가 가득한 시이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