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현안해결 방안 주민반대 드세

지역 현안에 대한 주민들의 반대 움직임이 점점 드세지고 있다.농민들은 추곡수매가 인상문제로 연일 정부의 실정을 성토하고 있으며 국회에 계류중인 낙동강 특별법안은 경북 중·북부 주민들의 '결사반대'에 맞닥뜨려 있다.안동시 농업인단체협의회(회장 우남식)와 농업경영인회(회장 권태걸), 안동농민회(회장 전중열) 등 농민단체 회원들은 5일 오전 10시쯤 안동시청 앞 마당과 농협 안동시지부 앞 도로에서 추곡 수매가 인상과 수매량 확대를 요구하는 농민들이 벼 200여가마를 쌓아 놓고 농성을 벌였다.

경북지역 생존권확보 범도민 대책위원회(위원장 정우스님)의 시·군 대표자 등 40여명은 6일 오전 한나라당 중앙당사를 방문, 40만명의 도민들이 서명한 낙동강 특별법 제정반대 서명서를 전달했다.

현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계류 중인 이 법안에 대해 대책위는 "정부 법안은 정치논리와 하류주민 달래기에 매달려 경북도민의 희생만 강요하고 있다"며 "오염주범인 대도시 생활하수와 공단 오폐수 관리, 환경기초시설 설치지원 등을 강화하지 않을 경우 끝까지 반대투쟁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항과 성주에서는 폐기물 문제로 주민들의 반대가 잇따랐다.

포항 흥해읍 성곡리 주민들과 포항 환경운동연합은 (주)선그린이 이 곳에 폐기물 매립장을 확장하려 하자 "1999년 12월 매립장을 확장하지 않는다고 공증까지 하고도 (주)선그린이 처음보다 2배나 확장하려 한다"며 "시청이 매립장 확장을 허가할 경우 강력한 저지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또 성주군 선남면 문방리 주민들은 인근 ㄱ실업이 동네 1만1천여㎡에 재생용 비금속 가공 원료 공장을 지으면서 산업폐기물로 성토작업을 한다며 식수원 오염 피해 등을 들어 반대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공장 관계자는 "환경법상 폐주물사는 성토용으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관계기관 신고 절차도 마쳤다"고 말했지만 주민 반발이 일자 성주군청은 폐주물사 반입을 중지시키고 주민들과 협의, 대책을 세우기로 했다.

최윤채·박용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