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벌써 집권당 됐나"

"한나라당은 집권.여당?"

한나라당엔 요즘 집권당이 된 것 같은 분위기가 팽배하다. 의원들이나 당직자들은 정국 현안들에 대해 집요하게 파고 들기보다는 한발 뒤로 물러나 않아 있는 등 대여 공세가이전에 비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대해 당에선 지난 재.보선 승리로 과반수에 육박한 136석의 제1당으로 부상함으로써 정국운영에 대한 책임감을 더욱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란 식으로 해명하고 있다. 또 민주당에서 당쇄신 문제를 둘러싸고 내분사태까지 초래하게 되자 집권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간주하는 당내 기류도 가세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각종 현안 등을 바라보는 시각은 어느새 집권 이후를 의식하기 시작했다.대표적인 예가 최근 방송법 개정과정을 둘러싼 논란이다. 당초 자민련과 공조, 추천 위원 중 대통령 몫을 국회로 넘기기로 했으나 막상 법안 개정작업이 본격화되자 한나라당은 이에반대, 결국 개정법안을 계류시켜 버렸다. 1년여 후의 집권을 염두에 둘 경우 자신의 밥그릇을 스스로 차버릴 수는 없다고 계산했을 법하다.

또 전국적으로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12개 중소규모 댐 건설계획에 대해서도 당초 반대하는 쪽이었으나 최근 '집권하기 전에 가능한한 많은 댐을 건설하는 게 바람직하다'는판단 아래 댐건설지역 의원들조차도 주민지원을 강화하는 식의 법안개정으로 후퇴하고 있다.한나라당의 위세는 최근 국회상임위 활동에서도 건설업 관련 법안 등 주요 법안의 처리여부를 좌지우지할 정도로 강력해져 있다. 헌정사상 처음으로 정부가 야당과 '정책협의회'도 갖게 됐다.

이같은 상황과 맞물려 당내 의원들 사이에선 집권 이후의 논공행상 소문까지 나돌고 있다. 국무총리감으로 두 명의 ㄱ 의원과 또 다른 두 명의 0 의원 등이 자천타천식으로거론되고 있다. 모 의원은 스스럼없이 장관자리를 맡고 싶다는 의중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같은 대열에는 중간 당직자들이라고 예외가 아니다. 또한 부총재급 중진인사들끼리는 이 총재 이후를 겨냥한 물밑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급기야 이 총재가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이 총재는 19일 총재단회의와 당무회의를 통해 "국정을 바로잡는 야당의 역할과 임무는 그 어느때보다 중대하다"며 "오만하고 방만한 자세를 가지고 국정처리과정에서 이완된 자세를 보인다면 이는 스스로를 죽이는 행동이 될 것"이라고 경고한 것이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