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폭우와 가뭄 등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있는 것은 무려 3㎞에 달하는 두꺼운 오염구름층이 하늘을 뒤덮고 있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12일 발표됐다.
유엔환경계획(UNEP) 주관으로 전세계 200여명의 기상학자들이 참여한 연구 보고서는 재, 매연, 산(酸) 등 여러 오염 미립자들이 뒤섞인 '아시아 갈색 구름층(AsianBrown Cloud)'을 기상이변의 주범으로 지목했다.
이번 연구는 기상이변을 주제로 한 프로젝트 중 사상 최대 규모이며, 오는 26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지구정상회의'에 앞서 발표된 것이다.
학자들은 목재나 가축 배설물을 사용하는 난방, 산불, 삼림, 식생 소각, 공장 매연 등이 복합적으로 만들어내는 이 구름층이 전체 일조량의 10-15%를 차단, 대지와 해수면을 냉각시키는 반면 그 위의 대기는 대조적으로 데워져 기상이변을 초래하게된다고 설명했다.
남아시아 뿐 아니라 아시아 전역으로 기상이변이 확대되는 추세인 셈이다.학자들은 오염구름층이 1주일이면 지구를 반 바퀴 돌 정도로 쉽게 이동할 수 있어 기상이변이 세계 곳곳에 들이닥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환경단체 '지구의 친구들'은 독성 구름을 만들어내는 원인을 억제하기 위해 긴급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도에서는 매년 약 50만명이 오염구름층이 야기한 여러 원인 때문에 조기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댓글 많은 뉴스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캄보디아 송환' 與野공방…"범죄자 송환쇼" vs "정쟁 수단 안돼"
대법정 법대 오른 범여권 의원들, 주진우 "사법부 짓밟는 상징적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