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당면 목표는 사형 폐지-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국제 NGO(비정부기구) 중 유일하게 대구에 본부를 둔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가 올해로 창립 30주년을 맞았다. 앰네스티 지부 역시 여느 국제 NGO처럼 1972년 3월28일 서울에서 창립됐으나 굴곡의 시대를 거치면서 많은 회원들이 시국사건에 연루되는바람에 1980년 광주 민주화운동 발생 직전 사무실이 폐쇄됐고, 그 이듬해 2월 재창설됐다가 1985년 또 해체 절차를 밟은 것.

그 후 소그룹활동으로 명맥을 유지하다 1991년 11월 연락 사무실이 대구에 자리 잡은 뒤 1993년 3월 국제집행위에 의해 재인준 받으면서 대구 시대를 열었다.

대구 중구 공평동 우원빌딩 7층에 있는 20여평 사무실은 인권 개선 선봉장 역할을 자임한 오완호 사무국장 등 4명이 지키고 있다. 양심수 석방, 고문 종식, 사형제도 폐지 등이 행동의 목표. 대구·서울·광주·대전·구미·강릉 등 전국의 2천400여명 회원들이 활동을 뒷받침한다. 현재 지부장은 고은태 중부대 교수.

지난 9월까지 이주노동자 국제협약 비준 운동을 펴 온 앰네스티는 요즘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사형제도 폐지 운동에 주력하고 있다.그 중 하나는 작년 10월 국회의원 155명이 발의해 국회 법사위에 계류 중인 사형제도 폐지 법안을 본회의에 국회의장이 직권으로 상정토록 하는 것.

또 정권 교체 후 사형 집행이 이뤄질 경우에 대비해 2천여명의 서명을 받아 총 56명인 사형수의 무기 감형 청원서를 곧 김대중 대통령에게 제출할 계획이다.지난달 1일엔 사형선고 후 6개월 이내 형 집행을 규정한 형사소송법을 '형 확정 10년 이후 집행'으로 개정토록 하기 위해 국회의원 30명의 서명을 받아국회에 제출했다. 이제 곧 사형제도 등 국내 인권 전반에 대한 질의서도 대선 후보들에게 보낼 계획.

한국본부는 이와 함께 국제형사재판소 설립을 위한 로마 규정을 비준 않고 있는 미국의 부당성을 알리기 위한 서명을 온라인(www.amnesty.or.kr)으로 받고 있다.한국 등 이미 비준한 나라에게 미국인에 대한 불처벌 협정 체결을 요구하는 것은 잘못됐다는 것.

한국지부는 다른 10여개 국내 인권단체들과 함께 30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전국 인권활동가 대회'도 열기로 했다. 국내 인권 전문가들이 처음으로 한자리에모이는 이 행사는 10년 연대 결과물인 국가인권위원회 발족 후 다소 느슨해진 인권단체들의 연대를 강화하고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한 것. 150여명의 인권 활동가들이 참가할 예정이다.

이경달기자 saran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