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선에서도 동서 표갈림 현상이 재연됐다. 민주당 노무현 후보는 호남에서 90% 이상의 몰표를 받았고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역시 영남지역에서 70%가 넘는 지지를 얻었다.
노 당선자의 경우 광주에서 95.2%, 전남에서 93.4%, 전북에서 91.6%를 얻는 등 15대 대선때 김대중 대통령이 얻은 득표율(광주 97.3%, 전남 94.6%, 전북 92.3%)에 육박하는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이 후보는 광주 3.6%, 전남 4.6%, 전북 6.2% 등 한자리수 득표에 그쳤다.
이같은 현상은 영남지역에서도 똑같이 나타났다. 이 후보는 대구에서 77.8%, 경북에서 73.5%를 얻은 반면 노 당선자는 18.7%와 21.7%에 그쳤다. 이는 노 당선자의 지역별 득표율 가운데 최저이다.
부산과 경남도 이 후보에게는 각각 66.7%와 67.5%의 지지를 보냈으나 노 후보는 29.9%와 27.1%를 얻는데 만족해야 했다. 하지만 노 당선자가 부산에서의 득표율 목표를 30%로 잡았던 점을 감안하면 나쁜 결과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울산은 11.4%를 얻은 권영길 후보의 약진이 두드러지면서 표쏠림 현상이 상대적으로 덜했다. 이 후보가 52.9%를 얻었고 노 당선자는 35.3%를 얻었다.
이같은 동서 양분현상은 이번 대선전을 결국 다른 지역,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누가 더 많은 표를 얻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리는 게임으로 만들었다. 노 당선자는 서울에서 48.9%, 경기에서 50.7%, 인천에서 49.9%를 얻어 세지역에서 모두 이 후보를 눌렀다. 이 후보는 이들 지역에서 45.0%, 50.7%, 44.5%를 얻는데 그쳤다.
충청권 역시 노 당선자가 대선에서 55.1%로 39.8%의 이 후보를 누른데 이어 충남과 충북에서도 52.2%와 50.4%로 이 후보보다 많은 지지를 보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