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도로 행정 수도가 옮겨가면 충청도 방언이 표준어가 되는 것인가.
충청도 사투리로 방송하고 신문의 활자들이 실리고…. 아침에 신문을 보다가 문득 이 생각이 떠올랐다.
표준어의 사전적인 의미가 어떻든 간에 세계 여러 나라들은 그 수도의 언어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세계화의 모범생인 우리나라 역시 행정 수도가 있는 서울에, 서울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를 표준어로 삼아왔다.
이런걸 보면 대통령 당선자가 공약 한 대로 대전으로 행정 수도가 이전되면 당연히 충청권의 언어가 표준어가 됨이 마땅하지 않은가.
미국의 WASP라 칭하는 상류층의 백인 그룹이 숫자가 많아서 그들의 언어가 미국의 표준어가 된 것은 아니지 않은가.
이런 생각들을 해보니 행정수도를 다른 지역으로 옮긴다 하더라도 수십 년 간 쌓여온 중앙 집중의 유형 무형의 결들을 온전히 옮기지 못하고, 그것이 만약 지역적으로 자리를 이동하는 수준이라면 별 의미가 없지 않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표준어는 그 자체에 이미 권력을 동반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힘있는 누군가에 의해 쓰여지고 있는 어떤 지역의 언어라는 의미로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으로 다른 이외의 것들을 표준화시키는 것이다.
필자가 여기서 그렇기 때문에 표준어 사용을 하지 말자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소수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태도이다.
'다수적인 언어-표준어' 이외의 것을 '소수적인 언어-방언'으로 나눌 때 이 소수적인 언어를 단지 어떤 지역에 국한 된 의미로 가두어서는 안된다.
이 소수인 언어로 다수적인 언어를 변형시키고 발전시키는 성분으로 이해 해야 한다.
이렇게 방언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도 다수의 문화, 중앙의 문화와 충돌하고 결합하여 더 새롭고 건강한 문화를 발전시키는 요인으로 인정 할 때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발전을 가져오리라 믿는다.
가야대 교수·연극영화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