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시행을 놓고 갈등을 빚어온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가 전교조의 주장을 대부분 받아들임으로써 반쪽 운영에 따른 대혼란과 엄청난 예산 낭비가 우려된다.
인권위는 NEIS의 27개 영역 중 교무 학사, 입학 및 진학, 보건 등 3개 영역은 인권 침해 소지가 있어 제외할 것을 교육부에 권고하고 나섰다.
아직은 교육부가 판단을 유보하고 있지만, 이렇게 되면 당장 오는 6월부터 시작되는 1학기 수시모집과 대입 일정에 혼란이 불가피해져 큰 걱정이다.
게다가 전국 초.중.고교의 97%가 기존 학교종합행정시스템(CS) 사용을 중단한 상황에서 다시 일부 영역을 CS로 이관하게 되면 초기 시스템 개발비 4천억원이 들고, 앞으로 5년간 8천억~2조1천억원의 추가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돼 엄청난 예산 낭비를 감수해야 할 판이다.
교육부는 곧 교육행정정보위원회를 개최, 최종 검토한 뒤 공식 입장을 밝힐 움직임이나, 눈치를 보며 오락가락해 한심하기 이를 데 없다.
더구나 윤덕홍 교육부총리는 지금까지 인권위의 권고를 받아들이겠다고 몇 차례 약속한 바 있어 지난해부터 논란을 빚어온 NEIS가 개통 두 달 만에 신.구 시스템 병행으로 가닥이 잡힌 셈이지만, 갈수록 커지는 전교조의 입김과 두 동강 난 교단 현실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교육부는 그간 교육행정의 정보화를 본격 도입함으로써 대국민 서비스 수준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각종 교육 관련 통계를 산출할 수 있어 교육행정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전자상거래 시대에 이 정도의 정보를 놓고 인권 침해라고 말하는 것은 억지'라고 반박해 오기도 했다.
교육부가 이제 와서 CS로 다시 돌아가라고 한다면, 이원화 체제에 따른 행정의 비효율성과 막대한 예산 소요가 큰 문제일 뿐 아니라 교육행정이 갈팡질팡하고 무책임하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워지기 어렵다.
교육대계와 국민을 생각하는 소신있는 교육행정을 촉구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