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 한 선비가 살았는데 몹시 가난했어. 아무리 선비라도 가난하니까 글만 읽고 살 수가 있어야지. 농사도 짓고 나무도 하면서 겨우 입에 풀칠이나 하면서 살았지. 그러다가 한 해는 흉년이 들어서 식구들이 모두 쫄쫄 굶는 바람에, 하릴없이 집에서 기르던 소를 장에 몰고 가서 팔았어.
소를 팔아서 돈을 받아 가지고 이제 집에 가는 참이야. 아무려나 소 판 돈이니 제법 많을 것 아니야? 행여 잃을세라 행여 빠뜨릴세라 조심조심하며 갔지. 장터에서 집으로 가는 길에 재가 하나 있는데, 그 재를 막 넘으려니까 도적이 나타나서 길을 턱 막네.
"목숨이 아깝거든 가진 돈 절반을 내놓아라".
어쩔 수 있나. 그나마 몽땅 빼앗기지 않은 걸 다행으로 여기고 돈 절반을 떼어 도적한테 줬어. 그러고 나서 물어 봤지.
"네가 사는 곳은 어디며, 성과 이름은 무엇이냐?"
"내가 사는 곳은 '이 산 저 산'이고, 내 성은 '길가다 나머지'고 이름은 '소여물 먹다 나머지'다".
도적이 이 말을 남기고는 바람같이 가버리네.
선비가 남은 돈으로 어찌어찌 집안 식구들을 먹여 살려 놓고 나서 가만히 생각을 해 보니 알다가도 모르겠거든. 도적이 제 입으로 사는 곳이며 성 이름을 말했지마는 도무지 알쏭달쏭해. '이 산 저 산'은 무엇이며 '길가다 나머지'는 뭐고 '소여물 먹다 나머지'는 또 뭐냐 말이야.
아무리 생각해도 알 수 없어서 고을 원님한테 가서 물어 봤지마는 원님도 그 수수께끼를 못 풀어. 하릴없이 추적추적 집으로 돌아오는데, 길가에서 아이들 몇이 원님 놀이를 하고 있더래. 한 아이가 원님 노릇을 하고 다른 아이들은 이방이다 사령이다 하면서 놀고 있더란 말이지. 그래서 장난삼아 물어 봤어.
"원님께 아룁니다.
'이 산 저 산'에 살고 성은 '길가다 나머지'요, 이름은 '소여물 먹다 나머지'인 도적을 찾아 주십시오".
원님 노릇하던 아이가 그 말을 듣더니 오래 생각할 것도 없이 술술 풀이를 하는데, 이렇게 하는 거야.
"그건 어려울 것이 없느니라. '이 산 저 산'은 양쪽에 산이 있으니 '양산'이고, 길가다 남는 것은 신이요, 소여물 먹다 남는 것은 구유이니, 양산골에 가서 '신구유'라는 사람을 찾으면 될 것이다".
가만히 들어보니 그럴 듯하거든. 선비가 그 길로 당장 양산골을 찾아갔어. 양산골에 가서,
"이 동네에 '신구유'라는 사람이 사느냐?"하고 물으니까 사람들이 금방 가르쳐 주는데, 동네 끄트머리에 있는 조그마한 오막살이를 가르쳐 주더래. 당장 그 집으로 갔지. 삽짝 앞에서 다짜고짜,
"신구유 있느냐? 어서 나와 내 돈을 내놓아라"하고 소리를 질렀더니 안에서 사람이 나오는데, 틀림없는 그 때 그 도적이더래. 도적이 선비를 보더니 그만 낯이 새파랗게 질려 가지고 손이 발이 되도록 빌었지.
"하도 먹고 살기 어려워 그 때는 못할 짓을 했습니다.
사는 곳과 성 이름을 수수께끼로 남겼는데, 이리도 용하게 알고 찾아오시니 더 무엇을 숨기겠습니까? 돈은 한 푼도 쓰지 않고 마당에 묻어 두었으니 어서 파내어 가십시오".
마당을 파 보았더니 돈이 그대로 있더래. 그래서 돈을 도로 찾아 왔는데, 그 뒤로 선비는 일이 다 잘 풀려서 걱정 없이 잘 살았더란다.
도적은 잘못을 뉘우치고 새사람이 돼서 이 선비를 잘 따르며 살았다지. 그 아이들은 어떻게 됐느냐고? 그건 나도 몰라. 아무도 몰라.
(서정오.아동문학가)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