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 재판소가 25일 공직자 사퇴기한 규정에 대한 위헌 결정을 내리면서 단체장이 총선 출마를 준비해온 기초단체 공무원들 사이에서 비정상적인 구정 운영, 공무원들의 기강해이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흘러나오는 등 공직사회가 크게 술렁이고 있다.
현직 단체장의 입장에서는 이번 결정이 현직의 이점을 최대한 누릴 수 있게 돼 더할 나위 없는 희소식이지만 해당 공무원들에겐 무거운 짐이 됐기 때문.
일부 공무원들은 "단체장의 자리에서 총선을 준비할 수 있는 기간이 연장된 것일 뿐 행정공백 문제가 해결된 건 아니다"며 "재직 기간이 늘어나게 돼 오히려 지역 주민을 위한 사업이나 행사 등이 그만큼 더 위축될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는 사업 및 행사를 추진할 때마다 사전 선거 및 선심성이 아니냐는 의혹의 눈길을 받아야돼 눈치를 보거나 아예 축소, 포기할 수 있기 때문이란 것. 또 단체장 보궐선거 후보로 거론되는 사람들이 대부분 현직 시의원이나 구의원, 공무원 등이어서 줄서기 현상도 우려되고 있다. '어차피 곧 나갈 사람'이란 생각이 팽배하면 레임덕 현상까지 발생할 수 있다.
북구청 한 공무원은 "사전 선거 운동이나 줄서기로 오해 받지 않기 위해선 사업, 행사 뿐 아니라 평소 생활에서도 말과 행동을 조심할 수 밖에 없다"며 "이런 상황에서도 열심히 일할 공무원이 얼마나 되겠느냐"고 했다.
또 어차피 사퇴할 것인 만큼 행정공백을 조금이라도 더 줄일 수 있도록 일찍 물러나 보궐선거를 하는 것이 주민을 위해서도 좋다고 했다. 이달 말에 사퇴하면 다음달 30일 보궐선거를 할 수 있어 행정공백을 한달로 줄일 수 있지만 이후엔 4월 총선 뒤인 6월에 보선을 해야 하기 때문에 단체장 공석에 따른 행정공백이 넉달로 늘어나게 된다는 것. 게다가 길어진 기간만큼 공무원들이 선거운동에 동원될 우려도 높다고 했다.
동구청 한 간부는 "마음은 총선에 가 있는데 과연 이전처럼 구정을 돌보겠느냐"며 "개인적으로 봐선 잘 된 일이지만 지역민을 위해선 빨리 사퇴해 보궐선거로 행정공백을 최소화하는 게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관련기사--==>단체장 '총선 180일전 사퇴' 위헌 결정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