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공과 큰 고무공을 앞에 놓고 '어느 쪽이 더 무거울까?' 아이들에게 물었다.
모두들 부피가 큰 고무공이 무거울 것이라고 대답한다.
과연 그럴까. 고무줄 저울에 공 두 개를 각각 얹자 아이들은 웃는다.
야구공을 얹은 고무줄이 더 길게 늘어졌기 때문이다.
빈 유리병과 빈 페트병은 어느 쪽이 무거울까. 어린이들은 역시 덩치 큰 페트병이 무거울 것이라고 대답한다.
그러나 실험결과는 반대. 야구공과 고무공뿐만 아니라 우유가 든 우유팩과 화장지 티슈, 물을 채운 페트병과 빈 페트병, 곰인형과 숟가락도 무게놀이의 재료가 될 수 있다.
처음엔 물체 2개의 무게를 비교해보고 차츰 3개, 4개의 무게를 비교해보자. 무거운 순서를 기록해보는 것도 좋다.
고무줄 저울 놀이의 핵심은 고무줄이 많이 늘어나는 쪽이 무거운 물건이라는 사실을 아이들이 터득하는 것. 자녀가 그 사실을 모를 경우 일부러 말해 줄 필요는 없다.
손으로 들어본 후 고무줄 저울에 얹어보면 된다.
한두 번으로 이해하지 못할 경우 여러 번 반복실험을 통해 깨닫게 하는 것이 좋다.
어른이 설명하면 어린이는 더 혼란스러울 수 있다.
고무줄 늘어짐과 무게의 관계를 감각적으로 터득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줄자를 달아 늘어난 길이를 재는 것도 좋지만 눈으로 익히도록 하는 편이 더 좋다.
'시소를 탔을 때 내려가는 쪽이 무거울까 올라가는 쪽이 무거울까' 라고 물어보는 것도 이해에 도움이 된다.
고무줄이 늘어지는 정도에 별 차이가 없을 경우 어린이들은 자신이 처음 무겁다고 생각한 쪽이 여전히 무겁다고 주장하는 경향을 보인다.
최윤정 교사(대구 덕인초교 병설유치원)는 무게 측정 놀이 때는 비교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래야 물체간의 무게 관계를 규정지을 수 있다는 것이다.
최 교사는 무게 측정에 앞서 눈으로 추측하게 하고 양손에 들어보게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또 고무줄 저울 대신 가방에 책 3,4권을 넣고 하나씩 빼거나 더해 무게의 차이를 알게 해 주는 것도 좋다고 덧붙인다.
"유아들에게 무게 개념을 가르칠 때 추 같은 표준 단위보다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책, 장난감, 숟가락 등 비표준 단위를 이용해야 합니다.
또 교과서적인 문제보다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사물과 사건을 중심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유아가 직접 실험에 참가해 결과를 토대로 자신의 생각을 구체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것보다 저것이 더 무겁다' 혹은 '더 무겁다' '더 가볍다' 정도의 용어를 익히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두진기자 earful@imaeil.com
▨고무줄 저울 만들기
▷천장이나 벽에 같은 길이의 고무줄을 2개 매단다.
단단하게 매달아야 하므로 못이나 봉에 매다는 것이 좋다.
노랑 고무줄보다 검정 고무줄의 신축성이 커 저울실험에는 더 효과적이다.
신축성이 큰 만큼 작은 무게차이도 눈에 띄게 알 수 있다.
▷고무줄 밑에는 비닐 봉지를 매달아도 되고, 물건을 담기에 적당한 상자를 매달아도 된다.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햇반 그릇도 좋다.
어떤 상자를 만들어도 상관없지만 무게는 같아야 한다.
물건을 얹고 균형을 잡기에는 그릇보다 비닐 봉지가 편하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