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500년 전 고대왕국 가야 속으로...

1천500여년 전 신비의 왕국, 가야가 다시 살아난다.

'가야의 유적과 유물'(박천수 홍보식 이주헌 류창환 지음/학연문화사 펴냄)은 영.호남으로 드넓은 세력권을 형성하고, 일본과 중국에 영향을 미쳤던 가야의 실체를 파헤쳤다.

광대한 무덤, 철과 토기, 장신구 등 역사 속에 영원히 묻힐 뻔한 가야의 유적과 유물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다양한 사진과 지도가 난해한 역사 서적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있다.

연구자들의 발로 뛴 흔적이 뚜렷하다

경북대 박천수 교수는 경북 고령에서 출발해 경남 합천 거창 함양 산청 진주 의령 하동 고성, 전북 남원 장수 진안 임실, 전남 곡성 구례 순천 여수까지 세력권을 넓혔던 대가야(도읍지 고령)를 조명했다.

대가야 무덤 양식과 토기, 금(동)관 등의 분포도와 유적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담았다.

복천박물관 홍보식 학예연구관은 초창기 가야의 주도권을 행사했던 금관가야(김해)의 이모저모를 실었다.

경남 김해와 창원 진해 부산 등지의 고분군과 조개무지, 산성 등 한 때 신라와 어깨를 나란히 했던 김수로왕의 흔적을 누볐다.

문화재청 이주헌 학예연구사는 독창적 문화와 사회체제를 형성했던 아라가야(함안)의 유적을, 경상대박물관 류창환 학예연구사는 경남 서남부지역에서 육상과 해상교통의 소통을 담당했던 소가야(고성)의 유적지를 밟았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