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강삼재(姜三載) 의원이 6일 '안풍자금'의 출처가 지난 96년 15대 총선 당시 신한국당 총재였던 김영삼(金泳三.YS) 전 대통령이라고 밝힘에 따라 그 돈의 성격과 출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로서는 직접 당사자인 YS가 침묵을 지키고 있어 자금의 출처와 성격에 대해선 단지 추론과 주장만 난무할 뿐이다.
먼저 한나라당은 '안풍사건'이 터진 직후부터 문제가 되는 돈의 출처가 YS임을 강력히 주장해왔으며 특히 '대선잔금'이거나 대선 당선 직후 기업들로부터 받은 '당선축하금'일 가능성을 제기해왔다.
지난 92년 대선 당시 YS는 일찍부터 당선이 유력시돼 기업들의 자금 후원이 쇄도했으며 대선자금 중 사용하지 않은 상당액을 안기부(현 국가정보원) 계좌에 넣고 관리해 왔으며 '안풍자금'의 출처도 그 돈일 것이라는 게 한나라당 주장이다.
최근 한나라당 불법대선자금사건에서 '차떼기' 등이 드러나 국민들을 경악시켰으나 당시 선거 및 정치문화 수준에 비쳐볼 때 YS에 대한 기업들의 대선자금 제공은 상상을 초월했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또 안풍자금은 전직대통령의 소위 통치자금일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노태우(盧泰愚) 전 대통령 등 전직대통령의 통치자금이 지난 92년 대선 당시 YS에게 전달됐고 그 잔여금이 당시 안기부에 흘러간 것 아니냐는 주장이다.
6공 시절 전직 고위관료를 지낸 한 인사는 "YS의 역사바로세우기로 노태우 전 대통령이 구속되기 직전 노통 주변에서는 YS에게 지원된 정치자금의 규모를 밝히자는 권유가 잇따랐으나 끝내 밝히지 않았다"며 노 대통령의 통치자금 중 상당한 자금이 흘러갔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인사는 또 "YS는 당시 전직대통령 비자금 수사를 하면서 처음에는 전두환 전 대통령 자금이라고 생각했으나 불가피하게 노태우 전 대통령 자금이 나오는 바람에 당시 수사를 확대할 수밖에 없었다"는 말도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지난 '한보청문회' 등에서 제기됐듯이 YS는 당선 직후 기업들로부터 상당액의 '당선축하금'을 받았을 것이라는 의혹도 끊임없이 나돌고 있다.
이와는 달리 15대 총선을 앞두고 신한국당이 별도 조성한 정치자금일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YS의 '금고지기'역할을 했던 홍인길(洪仁吉) 전 청와대 총무수석은 최근 월간조선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주장하며 안풍자금이 대선잔여금이거나 당선축하금이라는 한나라당의 주장을 반박했다.
그러나 '총선용 별도 정치자금'이라고 하더라도 당시 YS는 신한국당 총재를 겸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1천여억원이라는 엄청난 돈을 모금하는 과정에 YS가 직접 개입했을 가능성은 크다.
반면, '안풍자금'은 96년 15대 총선 뿐만 아니라 이보다 앞선 95년 지방선거 당시 김덕룡(金德龍) 신한국당 사무총장에게도 257억원이 제공됐다고 검찰이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선잔여금'이나 당선축하금일 가능성에 무게를 보태고 있다.
YS는 이미 대선과정 및 당선직후 충분한 정도의 '통치자금'을 비축해놓고 정치개혁 드라이브를 걸었던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그러나 YS가 강삼재 의원에게 돈을 줬다고 하더라도 안기부 예산이 아니라는 점이 완전 해명된 것은 아니다.
김기섭 안기부 전 운영차장이 이날 법정에서 문제의 돈은 여전히 안기부 예산이라고 주장했듯이 YS가 안기부 돈을 받아 전달만 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이종찬(李鍾贊) 전 국정원장의 증언과 함께 한해 5천여억원인 안기부 예산 중 20%에 해당하는 거액의 돈이 한꺼번에 빠져나올 경우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웠을 것이나 그런 일이 없었다는 점에서 안기부 예산은 아니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