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파 의원 그룹으로 한나라당의 '양심'으로 불려지던 미래연대가 위기에 봉착했다.
위기 수준이 아니라 조종(弔鐘)을 고하는 단계까지 가버렸다.
11일에는 "더이상 미래연대란 이름을 쓰지 않겠다"는 선언까지 했다.
사실상 해체를 선언한 셈이다.
당 안팎에선 서청원(徐淸源) 전 대표 석방의 여진이 결국엔 미래연대의 목을 뗐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흘러나오고 있다.
권오을(權五乙).남경필(南景弼).오세훈(吳世勳).원희룡(元喜龍) 의원 등 미래연대 소속 소장파 의원 및 원외위원장 11명은 이날 최병렬(崔秉烈) 대표를 향해 '자기 희생적 결단'을 요구하는 성명과 함께 기자회견을 가졌다.
서 전 대표 석방과 FTA 비준안 및 파병안 무산에 따른 책임추궁 차원이었다.
이들은 "지도부는 약속했던 당의 환골탈태는커녕 과반수 정당의 기본적 역할조차 못하는 구태정치를 반복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하지만 최 대표에게 던져진 칼끝이 엉뚱하게 미래연대로 향했다.
서 전대표 석방 결의안을 발의했던 의원 31명 중 박종희(朴鍾熙), 심규철(沈揆喆), 권오을(權五乙), 김용학(金龍學), 심재철(沈在哲), 이승철(李承哲) 의원 등이 바로 미래연대 소속이기 때문이다.
미래연대의 이율배반적 행보가 논란이 되자 "미래연대도 구시대적 행태를 극복하지 못했다"며 사실상 해체를 선언했다.
한 관계자는 "새로운 각오로 거듭나기 위해 미래연대를 해체할 것"이라며 "해체한다 해도 당 현안에 지도부가 제 갈길을 못 갈 경우 목소리를 내겠다"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