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2일 지난 13차 장관급회담에서 남북간에 합의한 장성급 회담을 오는
23일 판문점에서 갖자고 북측에 공식 제의했다.
정세현(丁世鉉) 통일부 장관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아침 10시 장성급회담을
개최하자는 제안을 우리가 먼저 북측에 보냈다"며 "우리가 제안한 날짜가 있지만 서
로 조율해서 일정을 공개할 것"이라며 제안한 회담 일정은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정부는 이날 오전 군사실무회담 문성묵(육군 대령) 수석대표 명의의 전
화통지문을 북측에 보내 소장급을 수석대표로 하는 장성급 회담을 오는 23일 판문점
에서 열자고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장성급회담이 열리면 서해상에서의 무력충돌 방지 등의 문제를 우선적으
로 논의하자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 장관은 제9차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 "우리는 3월20일부터 25일까지 갖기를
희망한다는 의사를 표시했지만 북측에서 여러가지 준비, 현장의 사정, 일기 등등을
고려해 3월29일부터 4월3일까지 갖자고 수정 제의했다"며 "북측의 수정제의를 그대
로 받는 것이 현실적인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그는 "북측은 생사여부 및 주소확인 의뢰자 명단을 넘기는 날짜도 우리측 제의
인 20일 보다는 29일로 늦추자는 입장을 전해왔다"며 "행사 준비가 필요한 만큼 명
단 교환일은 당기자는 식으로 수정 제의를 보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2차 6자회담과 관련, "(1차회담에서) 북한이 (회담석상에서의) 미국
의 발언에 대한 해석을 요청하면서 남북 수석대표간에 자연스레 접촉이 이뤄진 것
처럼 회담의 효율성을 위해 이번에도 필요하면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반드시 회담
을 따로 한다는 말은 아니다"고 말했다.
북한 식량사정과 관련, 정 장관은 "일단 올해 북한의 소요식량은 620만t인데 작
년에 400만톤 생산해 30% 가량이 모자라는 상태로 올 여름까지는 갈 수 있을 것"이
라며 "때문에 쌀지원 문제는 원래 봄 부터 서두르지 않았고 이번 장관급회담서도 비
료를 제때 보내달라는 것 말고는 식량 지원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외무성 관계자들의 방북과 관련, "좋은 징조"라며 "이는 6자회담서 (
북한이 일본으로 하여금) 납치 문제를 제기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것 만은 아니며 일
본과의 관계도 핵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또 "아테네올림픽 공동 입장 문제는 장관급회담에 앞서 대한올림픽위
원회(KOC)에서 북측에 의사표시를 했으며 남북 체육인들이 만나 얘기를 많이 해 온
사안으로 앞으로 KOC가 결론을 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생체실험 진위 여부와 관련, 정 장관은 "탈북자들은 가끔 본인이 직접
확인하지 않은 말을 해서 센세이션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며 "믿을 만한 얘기인지
내부적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아직은 신뢰성 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