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서비스 산업과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성장동력의 기반을 강화함으로써 오는 2008년까지 5년간 200만개 안팎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있도록 모든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정부는 19일 오전 청와대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주재로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제지도자 회의'를 갖고 2008년까지 5%대의 GDP 성장으로 150만개, 서비스업 등 일자리 창출능력 확충으로 20만~30만개, 일자리 나누기 등 추가적인 일자리 발굴로 20만~30만개를 각각 창출키로 했다.
이같은 계획이 달성될 경우 경제활동 참가율은 지난해의 61.4%에서 63% 중반, 고용률은 59.3%에서 61% 중반, 실업률은 3.4%에서 3% 초반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일자리 창출과 관련, 민간부문의 경우 시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해 공공부문에서 올 한해동안 작년보다 8만1천명 늘어난 34만4천명에게 장단기 일자리와 연수, 직업훈련의 기회를 제공키로 했다.
공무원 채용은 1만명 늘어난 4만4천명, 청년실업대책은 4만4천명 늘어난 14만3천명, 노인.장애인.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지원사업은 2만8천명 늘어난 15만 7천명이다.
특히 하반기로 갈수록 고용사정이 나아질 것으로 보고 1/4분기중 목표인원의 52%, 상반기중 74% 이상을 조기 충원키로 했다.
또한 경찰, 소방, 집배원, 식약품 안전 등 대민 서비스 확대를 위해 금년중 7천여명을 추가 증원키로 했다.
반면 공기업과 출연연구소 등은 경영여건, 인력운용상황 등을 감안, 탄력적으로 운영키로 하고 작년보다 900명 적은 1만2천100명을 채용키로 했다.
정부는 이같은 일자리 창출계획을 달성키 위해 고부가 서비스산업에서 일자리를 최대한 창출하고 제조업의 경우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일자리를 유지하는 한편 중소기업 육성과 투자활성화, 국가균형발전 등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키로 했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