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대표축제 만들자…전문가, 이렇게 본다

▨김정식 육군3사관학교 교수(예술행정 전공)

대구를 대표하는 축제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대구시와 대구예총은 산업으로서의 축제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 같다.

산업적 파급 효과부터 염두에 둔 축제의 경우 정부 예산지원을 받아내기가 쉽고 행정이 주도하기도 쉽겠지만, 성공하는 축제의 본질을 도외시한 안일한 발상이다.

경제적 파급 효과를 앞세우면 축제와 지역민이 분리되는 획일적이고도 단발적인 이벤트가 된다.

기획 과정에서 평가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없는 축제는 반드시 실패한다는 것이 전례이다.

예술성이나 향토성을 리딩섹터(주도적 요소)로 해 지속적으로 축제를 열다 보면 경제적 파급효과가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선순환이 이뤄진다.

또한 축제는 시민 삶과 하나가 돼야 성공할 수 있다.

축제는 시민들이 일상에서 잠시 탈출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에너지를 충전해 일상에 복귀할 수 있는 장이 돼야 한다.

대구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거리별.테마별 축제를 개최하되 그중 1, 2일 정도는 버스.지하철 요금과 공원 입장료를 받지 않고 학교를 일제히 휴교하는 등 축제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것이 좋을 것이다.

▨류정아 문화관광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

최근 한국에서 성공한 축제들로 평가되는 대부분의 축제들은 그 지역만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이나 역사적 사실, 전통적 요소들을 축제로서 재창조한 것들이다.

역사와 전통의 도시 대구는 그런 점에서 특이하면서도 관심을 가질만한 소재들을 많이 갖고 있다.

대구 고유 특성 가운데 에센스(정수)를 뽑아내고 축제로서 재창조해 내야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대구시는 이러한 인식이 너무 없는 것 같다.

무언가 특이하고 획기적이며 기발한 것만 찾아내려는 듯한 인상을 받았고 1, 2년내에 승부를 보려는듯 욕심이 앞서는 것 같다.

급조될 경우 관 주도에 의해 1, 2년 정도는 잘 가겠지만 결국 실패한 다른 지역 축제의 전철을 밟을 것이다.

축제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없이 성공할 수 없다.

따라서 대구가 갖고 있는 고유성을 살린 축제를 개발하고 난 뒤 시민들에게 인지시키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혼신의 힘과 정열을 갖춘 전문가도 필요하다.

그런 인재가 없다면 지금부터라도 키워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