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지역 500여업체 인력채용

대구상공회의소가 역내 제조.건설.서비스업체 등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인력채용 실태조사를 한 결과, 절반이 넘는 업체가 인력 채용 계획이 있다고 답했으나 퇴직인력 보충차원이 대부분이어서 구인.구직자간 눈높이가 맞지 않는 고용시장의 비대칭 현상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설문에 응한 기업의 55.7%가 채용계획이 있다고 응답했으나 인력 자연감소분에 대한 보충목적이 53.8%를 차지했다.

반면 신규사업 진출로 인해 인력이 필요하다고 답한 업체는 17.3%에 불과했고 경기호전에 따른 생산시설 확충에 따라 인력이 필요하다고 대답한 업체도 16.3%에 머물렀다.

때문에 설문 기업들의 57.3%가 생산현장직 구인을 원했고 전문기술직과 전산직 13.6%, 무역.영업직 13.6%, 사무관리는 10.7% 등으로 공격적인 경영차원에서 인력이 필요하다고 답한 업체는 소수였다.

그러나 기업들은 잦은 이직을 방지, 생산성 저하를 차단하고 숙련기술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채용형태와 관련, 70.5%가 정규직 채용을 원하고 있었다.

기업들은 또 발빠르게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1/4분기에 인력을 채용하고 싶다는 비율이 53.3%에 이르렀으며 수시채용은 19%에 머물렀다.

기업들은 인력수급과 관련, 72%가 임금보조 및 복리후생지원을 위해 정부 도움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다음으로는 산업기능요원 배정 확대(9.7%), 작업환경개선(5.7%) 등이었다.

기업들은 이와 함께 오는 8월부터 시행되는 '외국인 고용허가제'에 대해 33.3%가 임금상승을 불러온다고 대답하는 등 설문에 응한 업체 대다수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대구상공회의소는 기업들의 인력수급 원활화를 위해 지역별.업종별로 특화된 맞춤형 직업훈련이 필요하다고 전제하고 △인력채용에 따른 정부의 세제.금융상 혜택 부여 △인력 공동활용을 위한 기업 공통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외국인 고용허가제에 대비한 기업내 대비책 마련 등 기업과 정부의 다양한 대응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