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대통령이 탄핵안표결처리 시한을 불과 9시간여 앞둔 12일 오전 탄핵정국에 대해 사과하고 국회에 대화와 타협을 제의하고 나서 탄핵정국에 돌파구가 될지 여부가 주목된다.
노 대통령은 11일 기자회견에서 "잘못이 뭔지도 모르는데 시끄러우니까 탄핵을 모면하기 위해 사과하고 넘어갈 수는 없다"면서 사과를 거부했던 태도에서 하루만에 입장을 바꾼 셈이다.
기자회견 이후 남상국 전 대우건설 사장이 투신하는 등 악재가 돌출하고 여론도 악화되면서 탄핵안표결이 가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지자 한발 물러섰다.
"아직은 국민여론이 그것(사과)은 아닌 것 같다"고 주장하던 노 대통령이 하루도 채 지나지않아 '잘잘못을 떠나' 사과부터 한 것은 탄핵안 가결 이후에 초래될 국정혼란에 대한 우려와 참모들의 건의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김우식(金雨植) 비서실장이 "대통령 자신도 어젯밤 밤잠을 설쳤다"고 밝힐 정도로 노 대통령으로서는 자신의 기자회견에 대한 여론악화 등 탄핵정국에 대해 고심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청와대는 기존의 기조에서 변화된 것은 없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노 대통령은 "어제에 이어서 다시 한번 확인한다"면서 "선관위의 결정을 존중하고 선거에서의 중립의지는 확고하다"고도 말했다.
결국 노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선거법위반을 이유로 야당이 탄핵안을 제출한 것에 대해 사과한 것이 아니라 기자회견 이후 국민이 불안해하고 남상국 전 대우건설 사장의 투신자살, 한 노사모회원의 분신 등의 사태에 대해 사과한 것이라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야당이 요구하고 있는 사과는 아니라는 것이다.
11일 기자회견에서 대국민사과를 거부하고 측근과 친인척비리에 대해서는 해명하는 한편 자신의 재신임을 총선에 연계하는 초강수를 던졌던 기조는 그대로다.
무엇보다 이날은 노 대통령이 직접 대국민사과 등을 한 것이 아니라 지방행사에 가기 전 김 비서실장에게 당부한 말을 이병완 홍보수석이 전한 발언이라는 점에서 무게가 떨어진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10일 국회의장의 4당대표회담 제의를 거부한 노 대통령이 이날 "극한으로 치닫지 않도록 당부한다"면서 "대화로 모든 것을 풀어나갈 것을 원한다"고 말한 것에 대해서도 야당은 현재의 탄핵국면을 피하기 위한 계산에서 비롯된 것 아니냐는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
노 대통령은 이날 경남행사를 마치고 오후 5시쯤 청와대로 돌아올 예정이다.
그러나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노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 "진솔한 사과와 반성이 아니다"고 일축하고 탄핵 표결을 강행키로 해 탄핵 결사저지를 외치는 열린우리당 의원들과 또다시 물리적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날 중 처리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탄핵안은 12일 오후 6시30분을 기점으로 폐기될 예정이지만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의원총회를 열어 의장석 점거에 다시 나서고 있고 열린우리당 의원들도 단상점거 농성을 풀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박관용 국회의장이 경호권 발동을 예고해 놓은 상태여서 이의 실현 여부도 주목된다.
여야의 첨예대치가 계속될 경우 탄핵안의 자동폐기가 점쳐진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