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민련 왜 '탄핵안 가결'로 돌아섰나

국회가 12일 본회의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수월하게 가결한데는 자민련이 '탄핵반대'에서 '탄핵찬성'으로

당론을 바꾼 것이 적지않은 기여를 했다.

비록 탄핵안 표결에서 참석의원 195명 중 193명이 찬성표를 던져 소속의원 10명

중 8명만 표결에 참여한 자민련이 표로서 결정적인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하진 못했

지만 분위기 반전엔 결정적 기여를 했다는데 이론이 없다.

표결을 앞둔 이날 오전 자민련이 탄핵반대 당론을 백지화하고 김종필(金鍾泌)

총재에게 모든 것을 일임키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반색한

반면 열린우리당의 표정은 굳어지는 등 의사당 분위기가 급변했다.

전날까지 탄핵반대 입장이었던 자민련이 하루만에 당론을 변경한 데는 한나라당

과 민주당의 끈질긴 설득작업도 한몫했지만 노 대통령이 전날 기자회견에서 야당의

대국민 사과 및 재발방지 약속을 거부한데 이어 김 총재의 중재노력도 외면했기 때

문이란 후문이다.

김 총재는 이날 탄핵안 표결 이후 국회에서 기자와 만나 "마지막까지 (탄핵안

처리를) 막아야 겠다고 생각해 오늘 아침 대통령을 만나려 했는데 '경남을 간다'고

해서 못 만나 비서실장한테 (내뜻을) 전달하라고 했다"며 "대통령이 대화의 길을 막

았기 때문에 탄핵에 전원 찬성했다"고 밝혔다.

실제 자민련은 이날 오전 당사에서 긴급 의원 및 고위당직자회의를 열어 토론을

벌인 끝에 기존의 탄핵반대 당론을 백지화했으며, 김 총재는 탄핵찬성을 지시한 것

으로 알려졌다.

김학원(金學元) 총무는 연합뉴스와 전화에서 "당초 우리는 노 대통령이 선관위

결정을 겸허히 수용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할 것을 기대했다"며 "그런데 노 대통령이

어제 기자회견에서 이런 언급없이 측근비리에 대한 변명으로 일관하고 남상국 사장

투진자살까지 초래해 국민분노가 극에 달해 당론을 변경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치권 일각에선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그동안 물밑에서 자민련을 끈질기

게 설득해온 점을 들어 내각제와 유사한 개헌론 등을 당론변경의 대가로 내건 것 아

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