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실업 절반이 청년失業이라면…

청년실업자가 전체 실업자의 절반을 차지한다면 참으로 염려할 상황이다.

국가의 위기다.

나라가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나. 이런 상황은 이미 몇년전부터 진행되어 왔는데도 대책은 공공부문 근로자 수 일시 증원 등 임시처방식으로 대응한 결과다.

청년실업대책의 효율을 높일 총력, 사회전체가 고민해야 한다.

너무 늦었다.

실업, 청년실업을 줄일 근본적인 접근은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에 있다.

경제성장을 제쳐두고 무슨 수를 쓴들 백약이 무효다.

성장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투자활성화가 절대 관건이다.

기업주가 투자할 요건 등 호재(好材)가 없으면 결국 일자리 창출은 제자리서 얼어붙고 늘지 않을 것이다.

청년층 일자리수가 2월 현재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6만4천개가 줄어든 기가 찰 현상은 겉도는 정부대책의 또다른 증명 아닌가.

정부는 올해부터 2008년까지 5년동안 20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었다.

이 계획의 실현가능성에 대해서 정부는 충분히 가능한 목표라 하지만 취업자수가 그렇게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총선용 장밋빛 정책이라는 시각도 있다.

제조업이 무너지는 상황에서 서비스업 등의 활황을 기대하기 어렵고 실업사태 현상은 계속될 것이기 때문이다.

청년층의 직업의식도 문제다.

힘든 일 기피현상이 바뀌지 않고있다.

요사이는 직장이 조금 멀어도 일자리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젠 3D에서 4D현상이라니 외국인 근로자 채용만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돼 있다.

정부가, 사회전체가 청년일자리에 대한 효능있는 정책마련에 골몰할 일이다.

노동시장의 경직성, 불확실한 노사관계, 투자환경 개선 등 전반에 걸친 점검으로 발목 잡는 요인 해소책, 때 늦었다.

또다시 '선언적 수준'으로 끝나면 우리의 장래는 없다.

청년의 의욕이 상실되면 국가동력의 상실로 이어진다.

네덜란드식이 어떻고 스페인식이 어떻고 간에 우리 실정에 맞는 실업자 대책, 최우선의 국가 현안이다.

나라 뭣하나.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