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경선토론 TV중계키로

일촉즉발 상황까지 치달았던 한나라당과 방송3사간의 관계가 일단 봉합될 전망이다.

한나라당 대표경선 TV토론 중계를 거부했던 방송3사가 19일 당초 입장을 번복했기 때문이다.

KBS는 21일 밤 11시 '100인 토론' 프로그램에 5명의 당 경선주자를 초청하는 형식으로 합동토론회를 개최하는 방안을 전격 제시, 한나라당이 이를 수용했다.

또 MBC는 22일 오후 2시 당사에서 열리는 합동토론회를 생중계키로 잠정 결정했으며 SBS도 22일 오전 11시 토론회를 중계키로 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이날 밤 대책회의를 갖고 20일 예정됐던 대구.경북지역 및 부산지역 합동연설회 등 전국 순회 연설회를 취소했으며 21일 오후 서울 한강 둔치에서 열려 했던 야외 시국강연회도 포기했다.

이처럼 방송3사가 한나라당의 대표경선 TV토론을 중계키로 한 것은 선거를 앞두고 야권이 방송사의 편파 보도 문제를 계속 제기, 선거쟁점으로 비화될 경우 불가피하게 공영방송의 중립성이 위축받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우려한 때문으로 보인다.

야당이 국회 문화관광위 소집뿐 아니라 '시청료 납부거부 운동'에 적극 나서는 상황마저 우려했다고 한다.

또 방송사들도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선관위의 유권해석을 무시할 수 없었고 열린우리당의 당의장 경선을 8, 9회 중계한 전례도 있어 한나라당 요구를 무조건 외면하기 힘들었을 것이란 관측이다.

그러나 TV중계를 계기로 야권과 방송사간의 관계가 진정됐다고 보기는 이르다.

TV토론회를 통해 한나라당 경선주자에게 불리한 탄핵 관련 질문을 쏟아낼 경우도 예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나라당 역시 방송사를 관리감독하는 방송위원회에 대한 공격을 늦추지 않을 태세다.

은진수(殷辰洙)대변인은 방송사태가 해결된 이후에도 "일부 방송사가 탄핵회피 세력의 논리를 앵무새처럼 되뇌이고 그 세력을 지지하는 목소리만을 전달하며 야당의 통상적인 정당활동까지 방해하는 방송의 횡포를 제지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