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야, 너는 좋겠다.
길 없는 길이 많아서,
새 길을 닦거나 포장을 하지 않아도,
가다가 서다가 하지 않아도 되니
정말 좋겠다.
길 위에서 자주자주 길을 잃고
길이 있어도 갈 수 없는 길이
너무나 많은 길 위에서
나는 철없이 꿈길을 가는 아이처럼
네가 부럽다.
정말 부럽다.
이태수 '새에게' 부분
시인은 늘상 떠나는 사람이다.
어쩔 수 없이 현실에 붙잡혀 살고있지만 마음만은 현실을 떠나 꿈과 이상에 사는 사람이다.
시인이 새를 부러워하는 것은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망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단순히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음이라기보다는 자유라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삶에 대한 무게가 너무 빨리, 너무 무겁게, 또 너무 오래 지고 있다는 생각에 그 짐을 벗고 싶다는 충동보다는 자유에 대한 갈망이 너무 강해서 그렇게 비춰졌다고 보는 게 좋겠다.
서정윤(시인.영신고 교사)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