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로하신 부모님의 수의를 장만하러 갔었다.
그런데 수의값이 유명 디자이너의 패션상품보다 더 비싸게 나와있는 것이 적잖았다.
과연 수백만원씩 하는 수의를 입혀 드려야 효도인지 반성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수직포 수의라는 건 184만원이었고 그나마 좀 싸다는 게 100만원선이었다.
국산 수의값이 비싸다 보니 덩달아 중국산까지 100만원을 육박했다.
정말 비싼 것은 한 벌에 400만원을 넘는 것도 있었다.
과연 어떤 사람이 입는 것인지 의문이 생겼다.
예전에 미국에 갔을 때 고인에게 입혀 드리는 정장 한벌값이 우리 돈으로 20만원선이었던 게 생각났다.
우리의 비싼 수의를 볼 때 우리 민족의 소중한 효정신이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마지막 가시는 부모님께 드리는 수의는 자연솜이면 충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땀 한땀 정성들인 수의로 부모님의 건강을 빌던 소중한 풍습이 상업적으로 이용되면서 그 뜻이 너무 퇴색되는 것은 아닌지 한번쯤 되돌아봤으면 좋겠다.
김태용(대구시 고모동)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