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이 막바지로 치달으면서 지역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은 대구.경북지역에서 △거여(巨與) 견제론 △싹쓸이 방지론 △정권 창구론 등으로 공방을 벌이며 승부수를 띄우고 있다.
◈거여견제론
◆한나라당=영남권에서 시작된 거여견제론은 최근 수도권으로까지 북상중이라고 한나라당은 주장했다.
박근혜(朴槿惠) 대표가 영남과 수도권을 오가며 '거대여당은 일당독재'라는 논리를 펴는 것도 열린우리당의 수도권 기세를 꺾지 못할 경우 총선 승리는 없다는 절박감에서 비롯됐다는 것.
한나라당 대구시당 관계자는 우선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탄핵안 의결 후 각종 여론조사에서 유권자들의 표심이 열린우리당쪽으로 쏠리는 것은 문제라고 주장했다.
각 언론사와 여론조사 기관에서 선거운동 시작전까지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열린우리당이 국회 과반수를 넘어 200석을 넘어설 것이라고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거대여당 탄생이 불을 보듯 뻔한 상황에서 노무현 정권에 대한 견제심리가 발동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논리다.
한나라당측은 "노무현 정권 1년동안 거대야당이 정치의 발목을 잡았다는 주장을 하고 있으나 사실은 많은 부분 정부와 협력관계를 유지해왔다"면서 "노 정권의 문제는 거대야당의 비협조 때문이 아니라 경험부족과 자기주장으로 일관하는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자신들에게서 비롯된 문제였다"고 말했다.
결국 이런 상황에서 여당이 200석이 넘는 거대여당이 될 경우 열린우리당과 노무현 정부의 무소불위의 전횡은 불을 보듯 뻔하며 입법, 행정 모두를 장악하는 것은 견제와 균형이 무너지는 정치적 후퇴라고 주장했다.
◆열린우리당=한나라당의 거여견제론은 포장만 바꾼 신(新) 지역주의가 감춰져 있는 정치공세에 불과하다는 게 우리당의 시각이다.
특히 대구.경북에서 여당견제론을 많이 제기하고 있는데 지난 총선에 이어 또다시 싹쓸이로 한나라당을 밀어달라는 공작적 음모가 그 배경에 있다는 것.
최근 여론조사결과를 봐도 우리당이 가장 많이 올라봤자 지지율이 45% 정도로 약 130석에서 150석 정도 얻는데 그치는 수준이다.
따라서 열린우리당이 200석 이상을 얻을 것이라는 한나라당 주장은 대구.경북이 고립되더라도 지역정서를 자극해 국회의원만 하면 된다는 식의 얄팍한 지역선전선동책에 불과하다고 공박하고 있다.
시당 관계자는 "열린우리당의 지지율이 올라간 가장 결정적인 원인 제공은 바로 한나라당"이라면서 "부패한, 자격도 없는 야당이 수의 우위만 믿고 절차를 무시하고 대통령을 탄핵한 데 대해 국민들이 분노했고 그 결과 열린우리당을 지지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한나라당은 자기가 자초한 일에 대해 사과하기는커녕 대구.경북만이라도 거대 여당을 견제해야 한다며 대구.경북의 독식을 지역유권자에게 선동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싹쓸이 방지론
◆열린우리당=대구.경북에서는 거여견제론이 아니라 오히려 싹쓸이 견제론이 필요할 때라는 게 우리당의 절박한 생각이다.
싹쓸이 정치의 최대 피해자는 그 지역민이며, 남는 건 그 지역의 암울한 미래라는 것.
우리당은 '3김 정치'로 표현되는 특정정당 특정지역 독식 현상은 저질 국회의원을 양산하게 되었고, 정당 싹쓸이는 지역경제를 거덜나게 했으며 상호견제가 없는 지역정치-행정구조의 폐쇄성은 조직과 정치를 부패하게 만들었다"고 비판하고 있다.
우리당은 또 싹쓸이의 폐해로 관직후보자들의 매관매직 현상을 들고 있다.
특정 정당 공천만 받으면 무조건 당선이라는 등식이 성립되자 시장, 군수 후보자들이 공천권을 거머쥔 국회의원에게 거액의 검은 돈을 주고서라도 공천을 받으려는 매관매직 현상이 심화됐다는 것. 실제로 경산시장, 청도군수의 경우 지역구 국회의원에게 5억~7억원씩 주고 공천을 받기도 했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구의 1인당 지역 내 총생산 13년간 전국 꼴찌, 경제고통지수 전국 최고, 어음부도율 전국 1위 등의 지표는 바로 8년간 특정정당을 싹쓸이 해주고, 현재 국회의원 11명, 자치단체장 9명, 시의원 26명이 한나라당인 일당 독점구조하의 대구정치경제 성적표라고 우리당은 강조하고 있다.
◆한나라당=열린우리당과 무소속 후보 등이 한나라당의 싹쓸이 가능성을 제기하며 "더이상 싹쓸이는 안된다"는 논리를 펴자 한나라당측은 이를 조목조목 반박하고 있다.
한나라당 대구시당은 "대구에서 12석 모두를 한나라당이 석권하면 된다, 안된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선거를 보아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시당의 핵심관계자는 "누가 국회의원이 되는 것이 대한민국의 발전, 자기 지역의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인물인지, 정책이 얼마나 현실성이 있는지, 어떤 당을 선호하는지 등 선거에 대한 판단은 전적으로 유권자의 몫이고 유권자가 선택할 일"이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측은 "특정당이 대구.경북의 전 지역구를 석권하는 것도 그 결과로 특정당이 전 지역구를 석권하는 것은 대구시민과 경북도민의 표심이고 민심일 뿐인데 시민들의 선택을 왈가왈부할 거냐"고 비난했다.
◈정권창구론
◆열린우리당=정권창구론은 여당인 우리당이 제기하고 있다.
노무현 정부가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에 역점을 두고 있는 상태에서 각 지자체가 지방화 경쟁에 나서 어느 때보다 정권과 바로 연결되는 창구가 필요하다는 것.
그러나 대구는 지난 12년 동안이나 정부에 채널 하나 없는 불모지로 살았고 야당만 믿고 싹쓸이해 준 대구의 지역경제는 거덜났다는 게 우리당의 시각이다.
위천공단, 테크노폴리스 등 10여 년간의 대구숙원사업은 표류하고 있고, 한방바이오밸리 조성 등도 불투명한 실정이며 이대로 가면 대구.경북은 미래가 없다는 우려가 팽배해지고 있다는 지적도 하고 있다.
시당 관계자는 "우리 지역이 밝은 미래를 그리고자 하면 먼저 지역이 달라져야 한다"며 "정부와 코드를 맞춰야 하고 그래야만 지역회생작업도 순항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행히 참여정부에는 과거와는 달리 정부에 참여하고 있는 지역출신인사가 많고 또한 대통령이 먼저 '지방분권'을 외치고 있다"면서 "중앙과 직접 연결되고 청와대 무상출입이 가능한 대통령 측근 후보자들의 파워와 핫라인이 더 이상 후퇴할 데도 없는 대구의 미래를 위해 너무나도 절실할 때"라고 거듭 주장했다.
◆한나라당=정권창구론을 한나라당은 "열린우리당 이강철(李康哲.동갑) 후보를 지칭해 열린우리당과 일부 식자층에서 펴고 있는 논리"라고 봤다.
한나라당 측은 "열린우리당이 주장하는 열린정치, 깨끗한 정치, 21세기형 선진정치에서 정권의 창구역할을 하는 실세가 필요한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며 "정권창구론은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발끈했다.
이 후보 상대인 한나라당 주성영(朱晟英) 후보 측도 "이 후보가 대통령의 최측근이란 점 때문에 실세라고 부른다면 이의를 달 필요가 없다"면서도 "그렇지만 지역발전을 위해 정권실세가 당선돼야 한다는 것은 정부 정책결정과정의 시스템을 무시한 논리"라고 주장했다.
즉 한 사람의 실세가 창구노릇을 한다고 지역경제, 정치문화가 하루아침에 발전한다는 생각은 계보정치적 발상이라는 것이다.
이동관.이상곤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