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명의 후보가 저마다 경주 문화육성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세계속의 역사, 관광도시로 경주를 탈바꿈시키겠다는 구호를 높이고 있다.
보기에 따라 천편일률적으로 느껴지기도 하지만 경주시민들에겐 절실해 보인다.
대표적 공약을 물었더니 상당수 후보(정종복.김도현.김일윤.임진출)들이 '경주 문화특별시법' 제정을 꼽았다.
경주를 '문화특구' 내지 '문화특별시'로 지정, 문화재 보호에 따른 경주시민의 피해를 줄이고, 천년 고도의 문화적 가치를 되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앞서 경주발전협의회는 여러차례 '경주시 문화특구 설정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을 정치권과 경북도, 경주시에 건의한 바 있다.
이들 4명의 후보들은 문화특별시법 제정에 대해 "수십년동안 '문화재보호법'에 묶여 사유재산권을 행사하지 못한 경주시민들의 피해를 보상해 준다는 차원에서 반드시 관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대전에 있는 문화재청을 경주로 옮기겠다는 공약도 내걸고 있다.
민주노동당 정준호 후보는 지역현안에 대한 공약 보다는 '부유세 도입'과 '최저 임금인상'과 같은 당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정 후보는 "부유세를 도입, 서민에게 무상교육과 무상의료의 복지정책을 시행하는 '복지 정당'의 지지"를 호소했다.
민주당 박판렬 후보는 부산~포항을 잇는 동해 남부선 복선화 조기 완공을, 무소속 김영술 후보는 대 정부투쟁을 통해 빼앗긴 경주 경마장을 되찾아 오겠다고 주장한다.
또 무소속 정홍교 후보는 경주 감은사 복원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