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정동영(鄭東泳) 의장이 선대위원장 및 비례대표 후보직을 사퇴함에 따라 이를 유도한 우리당 대구.경북 인사들의 당내 입지가 단기적으로는 보다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 의장의 선대위원장 사퇴를 처음으로 공개 요구한 것이나 사퇴 압박 강도를 높인 것도 이 지역 인사들이었기 때문이다.
맨 먼저 정 의장 사퇴를 촉구한 것은 이영탁(李永鐸.영주) 후보였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12일 정 의장 사퇴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한 윤덕홍(尹德弘).권기홍(權奇洪) 후보 주장이 관철된 것이다. 이들은 모두 참여 정부의 장관을 지낸 인물이다. 이들의 강경론에 서중현(徐重鉉).윤용희(尹龍熙) 후보가 가세한 모양이 됐다.
이들의 당내 입지 변화가 예상된다. 각료급 신인 정치인이 아니라 말발도 먹혀들고 당을 뒤흔들 수도 있는 무게를 얻게 됐다는 평가다. 대구 동갑구에서 지역의 창구 역할을 할 이강철(李康哲) 후보에게 원군이 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 일련의 과정 가운데 가장 주목을 받는 인사는 물론 이강철 후보다. 그는 지역 출마 후보들의 들끓는 정 의장 사퇴 요구를 조율, 결국 의사를 관철시키는데 막후 조정자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당내 분열로 비쳐질 수도 있는 이번 사태에 대해 정 의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책임 문제'를 비공개적으로 추궁했다. 이 후보는 정 의장에게 "대구는 물론이고 경북지역이 초토화되고 있다"며 "지역민들에게 사과하려면 정 의장 신상에 대한 중대한 결단을 해야 한다"고 압박을 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12일에는 개인 선거운동을 접고 중앙당 일부 상임중앙위원들과 지도부들을 끈질기게 설득해 정 의장 사퇴에 대한 합의를 얻어냈다는 것. 물론 정 의장 사퇴를 계기로 힘을 발휘한 이 후보의 정치적 역할과 비중은 총선에서 승리해야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것이다. 이는 다른 후보들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한편 이번 정 의장 사퇴를 이끌어 낸 '공신'들은 이번 사태가 당 내분으로 비쳐질까 고심하고 있다. 윤 후보가 "정 의장의 사퇴 요구는 공당 대표로서의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충정의 발로였지 결코 당 내분은 아니었다"고 말한 것은 투표를 코 앞에 둔 미묘한 시기에 '잡음'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다.
중앙당의 한 당직자는 "대구.경북의 지지없이 전국정당화를 실패하는 것보다 부분적인 수술로 대의를 이루는 게 맞지 않느냐"고 말해 대구.경북 사람들의 역할을 평가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사진 : 12일 오전 대구 황금네거리에서 열린우리당 대구 출마후보들이 기자회견을 갖고 한나라당의 싹쓸이를 막아달라며 시민들에게 호소하고 있다. 김영욱기자 mirage@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