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저소득층 취업강좌 '속빈 강정'

대구시가 저소득층 주민들의 창업.취업을 위해 운영중인 복지관내 '기능.기술교육' 강좌가 저소득층 주민 참여율 저조로 일반 주민들의 '취미반'으로 변질, 운영되고 있다.

또 일부 수강 교과목은 20년넘게 그대로인 데다 강사 공개채용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새로운 직업환경에 맞게 교육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시가 운영중인 복지관은 시 종합사회복지관과 대구여성회관 및 동부여성문화회관 등 3곳으로 컴퓨터와 양재, 미용, 제과제빵, 생활한복, 홈패션.퀼트, 한식.일식 등 복지관마다 9~12개 과목을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300~600명에 이르는 기능.기술교육 강좌 수강생 중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모.부자 가정 및 무주택주민 등 저소득 주민들은 고작 10~30%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것. 복지관 한 교육담당자는 "하루 생계에 바쁜 저소득 주민들이 4개월 이상 걸리는 자격증 강좌에 참가할 여유가 없는 것 같다"며 "요즘 취업.창업에 유리한 수업을 하려고 해도 예산부족으로 개강이 힘들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 1월부터 전임강사에서 시간강사로 강사신분을 바꾸고 외부강사 공개채용제도도 규정해 놓는 등 교육자의 건전한 경쟁을 통해 수업의 질을 높이는 장치를 마련했지만 강사진과 복지관측의 갈등으로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특히 시대흐름을 따라잡지 못한 교육과목과 10년이상 한자리를 지키는 강사 등 교육의 질적인 부문에 대한 불만도 높다.

한 주부 수강생 김모(35)씨는 "새 기술을 익히지 못한 강사가 시대에 뒤떨어진 교육을 할 때면 실망감만 들었다"며 "수업도 고무줄식인데 왜 원래 취지대로 바뀌지 않는지 모르겠다"고 볼멘소리를 냈다.

이에 대해 한 복지관 관계자는 "그간의 기술.기능 교육이 폐쇄적인 강사 채용, 원칙 없는 강의 진행 등 주먹구구식 운영으로 저소득 주민들의 창업.취업기회 구현이란 취지에 무색했다"며 "강사 공개채용과 새 교과목 개설에는 시차원의 지원과 의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병고기자 cch@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