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방에 2001년 이후 지진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은 '강건너 불보듯'할 일이 아니다.
물론 경북에 원자력발전소가 들어선 이후인 90년대 중반부터 지진측정기를 설치했기 때문에 미진까지 예측된 결과이겠지만 최근 우리나라 전체에서 관측된 지진 중 상당수가 대구.경북에서 발생된 그 자체로도 일과성으로 지나칠 게 아니라 대비가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대구.경북 지진 통계를 보면 2001년 총 42건중 12건, 2002년 49건 중 8건, 2003년엔 38건 중 11건이 이 지방에서 일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규모는 건물이 순간적으로 약간 흔들릴 정도의 진도 3.5 이하가 대부분이지만 발생건수가 이 지방에 집중되고 있다는 그 자체가 심각한 문제인 것이다.
게다가 진앙지가 종전엔 동해권이었으나 점차 내륙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도 충격적인 사실이다.
지난 78년 홍성지진으로 건물이 무너지는 피해가 나면서 정부에서 건물.교량 등에 대한 내진설계 기준을 마련했지만 그게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채 지나쳐 오고 있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그보다 더 큰 문제는 정부나 학계 그 어떤 분야에서도 우리나라 지진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연구나 실상파악조차 않고 있다는 데 있다.
지난 26일 발생한 대구.경북 일원에서 일어난 진도3.5의 지진의 진앙지가 내륙 성주로 밝혀져 학계에선 진앙지가 내륙으로 옮겨가고 있는 건 심각한 상황이라면서 우리도 지진 대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선 걸 우선 정부나 대구시.경북도 등 지방자치단체가 귀담아 듣고 그에 상응한 대비책을 모색해야 할 시점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구체적인 대책으로 정부.지방자치단체.관련 학계가 서로 유기적인 체제로 공동대책위부터 구성하는 게 급선무일 것 같다.
이 기구에서 학계는 우리나라의 지진현황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앞으로의 추이 등을 연구하는 체계를 우선 구축하고 정부나 지자체에선 학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법적인 체제마련과 함께 방재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갖춰 나가야 할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