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이즈미 재일조선인 가해사건에 유감표명"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는 오는

22일 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일본인 납치사건 인

정 이후 한때 일본인들이 재일조선인들에게 가했던 폭행과 폭언사건을 '인권침해'로

규정하고 유감을 표명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교도통신이 20일 보도했다.

통신은 고이즈미 총리가 국교정상화의 전제로 김 위원장에게 피랍 일본인의 북

한 잔류가족 송환 등 납치문제의 해결을 강력히 요구하는 한편 일본내에서 벌어졌던

재일조선인에 대한 괴롭힘에 대해 '우려의 심정(念)'이나 '심각한 우려' '유감의 뜻'

등의 표현을 통해 유감을 전달하는 방안을 일본 정부가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재일조선인에 대한 일본내 가해 사건은 지난 2002년 9월 양국 정상회담에서 김

정일 위원장이 8명의 납치피해자가 사망했다고 밝히는 등 북한의 일본인 피랍을 인

정한 뒤 촉발됐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에 따르면 회담 직후 일주일내 300여건의

폭행과 폭언, 협박전화 등이 보고됐다.

그러자 조선학교측은 재일조선인 여학생의 제복인 치마저고리 착용을 중지토록

하는 등 자위책을 강구하기까지 했다. 도쿄 변호사회도 인권침해를 중지하라는 성명

을 내고 정부의 대처를 촉구했다.

정부 소식통은 가해사건이 터지는 등 정상회담 후 오히려 일본내 반북감정이 고

조되자 북한측은 "국교정상화의 의지가 없는 것이 일본의 속내가 아닌가"라고 의심

해왔다면서, 이에 따라 정부내에서는 "납치문제와 분리해 인권침해 사태의 재발방지

방안을 검토해야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와 함께 통신은 고이즈미 총리가 북한의 화물여객선 만경봉호의 입항 금지를

겨냥한 특정선박입항금지법이 국회를 통과하더라도 북한 잔류가족 8명의 귀국이 실

현될 경우 당장은 발동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김 위원장에게 전하는 방안도 부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고이즈미 총리는 22일 북한 잔류가족 8명 전원을 자신이 타고간 전용기에

태워 귀국한다는 목표 아래 귀국직후 납치피해자 5명을 비롯한 피해자가족회와 면담

을 갖고 회담결과를 직접 설명하기로 했다.

고이즈미 총리는 이날 오전중 전용기로 평양에 도착해 김 위원장과 회담을 시작

하고 현지에서 기자회견을 가진 뒤 저녁무렵 귀국한다. (도쿄=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